헛생각
- 글쓴이
- 이공인
- 등록일
- 2002-02-28 12:22
- 조회
- 7,893회
- 추천
- 0건
- 댓글
- 0건
관련링크
인구 분포를 보라 1995년 꺼지만.
http://pcrc.hongik.ac.kr/~gyn/play_learn/kidstat/pop_age.html)
지금 대학원 생이고 사회에 진출해 있는 많은 사람들 아마 여기서 말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베이비 붐 세대들이다. 그야 말로 봉이다. 내수 시장만 본다면 넘치는 공급 치열한 경쟁 기득권에서 충분히 이용해 먹고도 남을 정도다.
그러나 인구는 연령별로 준다. 만약 여기 있는 사람들이 막상 뭔가 챙길려고 할 때
오히려 밑에서 받혀 주는 사람이 없다. 결국 구인하러 다녀야 할 꺼다. 이공계 지원생도 줄고 있다.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데 구지 어려운 이공계 해서 살 이유가 없다. 더더군다다 처우도 좋지 않은데
그러면 아마 여기 일하는 사람들 나이 들어서 까지 생산라인에 들어가서 일해야 할 지도 모른다. 그럼 우리보다 저 개발 국가에서 인력을 데려와야 하는데 과연 우리 나라가 매력이있나? 생각해보면 것두 아니다. 이렇게 관료적인 사회에서
우리의 경쟁력은 뭔가? 그건 우수 인력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아니다는 거다. 지금까지 하드웨어가 소프트 웨어 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 취약성을 극복할 시기다 다가 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시스템을 보면, 답은 아니다...
뭔가 해야한다. 지금.
http://pcrc.hongik.ac.kr/~gyn/play_learn/kidstat/pop_age.html)
지금 대학원 생이고 사회에 진출해 있는 많은 사람들 아마 여기서 말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베이비 붐 세대들이다. 그야 말로 봉이다. 내수 시장만 본다면 넘치는 공급 치열한 경쟁 기득권에서 충분히 이용해 먹고도 남을 정도다.
그러나 인구는 연령별로 준다. 만약 여기 있는 사람들이 막상 뭔가 챙길려고 할 때
오히려 밑에서 받혀 주는 사람이 없다. 결국 구인하러 다녀야 할 꺼다. 이공계 지원생도 줄고 있다.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데 구지 어려운 이공계 해서 살 이유가 없다. 더더군다다 처우도 좋지 않은데
그러면 아마 여기 일하는 사람들 나이 들어서 까지 생산라인에 들어가서 일해야 할 지도 모른다. 그럼 우리보다 저 개발 국가에서 인력을 데려와야 하는데 과연 우리 나라가 매력이있나? 생각해보면 것두 아니다. 이렇게 관료적인 사회에서
우리의 경쟁력은 뭔가? 그건 우수 인력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아니다는 거다. 지금까지 하드웨어가 소프트 웨어 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 취약성을 극복할 시기다 다가 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시스템을 보면, 답은 아니다...
뭔가 해야한다. 지금.
다른 사람들 의견
페이지 미리보기
- 이전
- 연구를 하려면
- 다음
- 개발의 즐거움과 괴로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