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연구환경
- 글쓴이
- 연구원
- 등록일
- 2002-03-09 23:39
- 조회
- 10,827회
- 추천
- 1건
- 댓글
- 19건
관련링크
기술수준과 연구의 한가지 사례를 소개해볼까요?
모 자동차 회사의 준중형 승용차 뒷바퀴의 브레이크 드럼 부분을 유심히 보세요. 14년전에 나온 그 회사의 동급 승용차의 그것과 똑같습니다. 그 동급 승용차는 국내에서 개발했다고 선전할 무렵 이미 모 선진국의 기술 제휴선에서는 단종된 모델이었습니다.
제가 아는 분은 기계공학과 대학원에서 고체역학을 전공하고 또다른 모 자동차 회사 연구소에 들어갔는데 무슨 일 시켰는지 아세요? CAD 소프트웨어 가지고 벨트 그림 그리는 일 시켰습니다. 공고출신 설계사가 할일을 고체역학 공부한 석사한테 시킨거지요. 그러다가 맘에 안들어서 다른 정부출연 연구소로 옮겼는데 여기서도 연구는 안하고 나이많은 기원들 밑에서 맨날 조수노릇 (시편 설치, 운반, 청소 같은 노가다성 업무) 시키길래 열 받아서 지금은 미국에서 박사과정 밟고있습니다.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연구환경은 어떤가요? 대표적으로 삼성, LG, 현대, 대우가
>있잖아요. 연구분위기나 기술수준, 연봉 같은 거 말이죠.
>
>
다른 사람들 의견
-
ozbbq
()
님의 글에서 나오는 고체역학 전공하신 분이 저와 거의 비슷한 전철을 밟으셨네요. 저도 국책연구소에서 노가다하다가 열받아서 나왔습니다. 기원들에게 욕듣고, 행정직 직원들에게 갈굼을
-
ozbbq
()
당하고 나니 정말 정나미 떨어지더군요. 결국 연구소에서 노가다만 하고 나왔으니 논문실적도 없고 해서 유학도 쉽지 않고, 재취업도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전 너무 슬픕니다.
-
ggaos
()
우리나라에선 진짜 제대로 된 연구를 할 수 없는 건가요?
-
ggaos
()
그래도 삼성반도체 같은 경우는 기술도 뛰어나고 뭔가 괜찮을 거 같은데요..
-
연구원
()
삼성반도체도 생산기술 다시말해서 가공기술이 뛰어난 조립업체에 불과합니다.
-
연구원
()
세계 1위 메모리 기술도 원천기술은 별로입니다.
-
연구원
()
RD RAM 원천기술 특허가 누구건지 보시면 알겠지요?
-
연구원
()
비메모리나 ASIC 쪽으로는 명함도 못꺼냅니다.
-
연구원
()
이런얘기 하면 명예훼손이라고 고소당할텐데... ^^
-
익명
()
메모리 분야는 기술이 아니라 도박입니다..-_-
-
익명
()
중국이 램시장에 뛰어들면 삼성 사업접어야 할겁니다..
-
허민오
()
DRAM 반도체 분야란 것이.. 엄청난 비용으로 라인만들어서.. 좀 팔아먹고 다시 그 다음세대 DRAM 라인 구축하고 팔아먹고의 반복이죠..
-
허민오
()
그 다음세대DRAM 설계하는 부분은 기술이 좀 필요하긴 하지만... SRAM이나 ASIC에 비하면 부가가치가 그다지 -_-;;
-
허민오
()
이쪽은 계속 투자 안하면 망하는 분야예요..=_=;; 경쟁업체에서도 길어야 반년후면 같은 제품이 나오니깐..
-
허민오
()
그러다 가격 떨어지면 또 다음세대 대량생산화한거 팔구.. . 계속 반복예여..
-
허민오
()
결론 : 다음세대 DRAM제작 = 돈많이 드는 미세가공기술 대량생산화라인 구축
-
허민오
()
DRAM이란게 헤어나올수 없는 수렁텅이 같은 느낌임다-_-;
-
ggaos
()
종합기술원이라.. 거기도 삼성전자처럼 밤새면서 일하는 곳인가요?
-
배성원
()
제 후배가 거기 다니는데요. 매일 밤 새지는 않습니다. 줄잡아 일년에 서너달로 보시면 될 듯. 보통 프로젝이 1년 단위라서 막판에 바쁘지요.
페이지 미리보기
- 이전
- 삼성전자 연구실 1탄
- 다음
- 연구환경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