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열 정책 담당자가 과학기술 몰라도 된다니 [2005.09.02/한겨레] >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이공계열 정책 담당자가 과학기술 몰라도 된다니 [2005.09.02/한겨레]

페이지 정보

scieng 작성일2005-09-13 16:09

본문

이공계열 정책 담당자가 과학기술 몰라도 된다니

어찌 보면 좀 해묵은 얘기일지도 모르겠지만, 이 나라에서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인들을 둘러싸고 돌아가는 작금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다시 한마디 하지 않을 수 없겠다. 영국의 과학자이자 작가였던 찰스 퍼시 스노(1905~1980)가 ‘두 문화와 과학혁명'이라는 제목으로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과의 괴리, 상호 이해부족 등에 대해 언급했던 1959년의 ‘리드’ 강연을 다시 언급하는 것도 이제는 진부한 느낌이 들지만, 그동안 이러한 폐해가 대단히 극명하게 드러났던 곳이 바로 우리나라라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우게 한다.
물론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려는 노력도 여러모로 모색되고 있기는 하다.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전공 학습 못지않게 인문사회과학적 교양 및 경영, 법학 등의 교육 기회와 다양한 진로를 제공하며, 비이공계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의 기초적 소양을 쌓도록 하자는 방안 등이 정부 정책에서도 구체적으로 거론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은 까마득히 멀 뿐만 아니라,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만큼 여전히 ‘두 문화’가 동등한 위치에서 취급되지도 않는다. 필자의 편견일지도 모르지만, 과학기술을 전공한 사람들이 경제, 경영, 정책, 법학 등 타 분야의 학문을 무시하거나 가볍게 여기는 태도는 거의 본 적이 없다. 도리어 “과학기술인들은 자신의 전공에만 매몰되다 보니 세상 물정을 모른다”는 외부의 비평에 주눅(?)이 들었는지, 스스로 능력 부족과 타 분야 이해의 필요성을 절감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 역의 경우는 어떠한가? 이공계가 아닌 학문이나 타 분야에 종사하는 이들이 과학기술을 경시하고 과학기술인들을 홀대하는 태도는 그다지 달라진 것이 없어 보인다. 더구나 학문의 비가역적 성격에 비추어볼 때에 이공계열의 학문이 더 공부하기 어렵다는 데에는 대부분 공감하지 않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땅에서는 어렵다는 이공계 공부를 한 사람들이 더 존중을 받기는커녕, 도리어 무시당하는 해괴한 일들이 계속되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과학기술인들을 우대하고 사기를 진작시키겠다고 하면서도, 다른 쪽에서는 과학기술인들을 더욱 철저히 무시한다고밖에 볼 수 없는 일들이 함께 일어나는 최근의 모순된 상황은 바로 과학기술 관련 정책 담당자, 법률가, 정치인 등이 “과학기술은 잘 몰라도 과학기술 행정을 하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은 아닌가? 이러한 이공계 학문에 대한 뿌리 깊고 비뚤어진 우월의식부터 척결하지 않는다면, 과학기술중심사회니 뭐니 하는 화려한 구호들은 또다시 공염불에 그칠 듯하다.

최성우/ 한국과학기술인연합 운영위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언론보도

SLIDE UP

모바일에서는 읽기만 가능합니다.
PC 버전 보기
© 2002 - 2015 scie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