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입국 이대론 미래 없다 … 국내 293명, 재미 226명 심층 설문 > 펀글토론방

본문 바로가기

과학입국 이대론 미래 없다 … 국내 293명, 재미 226명 심층 설문

페이지 정보

남영우 작성일2012-09-18 14:27

본문

중앙일보 기사입니다.
토론방이라 뭔가 발제를 해야 하는데, 제가 뭘 덧붙이거나 하기는 어려운 주제라 기사만 참고로 가져왔습니다. 연구원이나 교수로 취업하고 싶은 인재들도 많을텐데, 정작 자리를 잡은 사람들의 의견이 뭔가 비관적으로 보입니다. 그 내용을 잘 보아 개선했으면 합니다.

------------------------------------------------------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 일할 기회가 있다면 이 땅을 떠나고 싶다.” 국내 과학자 10명 중 7명(72%)이 토로하는 심정이다. 더 좋은 연구환경과 삶의 여건을 찾겠다는 이유에서다.

 “고국으로 돌아가고는 싶다.” 미국 거주 한인 과학자 중 66%가 품고 있는 생각은 거꾸로다. 하지만 이들은 “한국의 과학자에 대한 낮은 보수와 열악한 연구환경 등이 발목을 잡는다”며 귀국을 주저한다.

 본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 과학·산업 전문 인터넷뉴스 대덕넷(www.hellodd.com)이 공동으로 지난 12일부터 닷새간 재미(在美) 한인 과학기술인 226명과 국내 과학인 293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드러난 국내 과학계의 어두운 현실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과학벨트 조성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올 5월엔 기초과학연구원을 출범시켰다. 세계 각국으로부터 핵심 연구인력 유입을 위한 ‘브레인 리턴(Brain Return) 500’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주인공이 될 국내외 과학 인재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한국의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아주 못하고 있다(재미 24%, 국내 37%)’거나 ‘못하고 있다(재미 43%, 국내 42%)’는 응답이 주류였다. 국내외 과학자의 70% 이상이 한국 과학기술정책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이는 과학계 깊숙이 뿌리박고 있는 부조리 때문이라는 게 과학자들의 지적이다. 연구에 매진할 수 없는 풍토, 연구비 관리에 대한 비현실적 규정과 감사, 연구 의욕을 꺾는 관료주의, 비정규직 연구원의 증가, 이공계 기피 현상 등이 그것이다.

---------------------------------------------------
이하 생략 링크참조.

댓글 1

스포일러님의 댓글

스포일러

  학교, 정출연, 기업체, 창업 과학기술자로 나눠서 비교했다면 더 좋은 조사가 되었을텐데, 아쉽네요.

펀글토론방

SLIDE UP

모바일에서는 읽기만 가능합니다.
PC 버전 보기
© 2002 - 2015 scie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