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기계공학진학 준비중인학생인데 질문있습니다 > 과학기술Q&A

본문 바로가기

이번에 기계공학진학 준비중인학생인데 질문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케일 작성일2016-12-09 10:03

본문

인터넷에 강의동영상과 구글링을 통해 대학교 강의자료로 혼자 4대역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과목에 대한 이해는 70프로정도 하지만 나머지는 혼자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들이 있어서  개념에 대한 질문 좀 할게요
정역학에서 FBD그려서 힘의성분을 타낼때 왜 핀의 경우 x와 y성분으로 나누어지나요? 트러스 같은 경우는 xy성분으로 나누어지는곳도 있고 y성분만 힘을 받는경우가 있습니다 즉, FBD를 그리고 나서 힘의성분을 분석 하는것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동역학에서는 각운동과 원운동에서 성분을 왜 다르게 표현 되는가요? 각운동일때는 en과et로 나누고 원운동일때는 er과e시타로 나누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무슨차이인지.. 각운동일때는 속도벡터가 접선이고 원운동일때는 속도벡터가 반경방향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열역학에서는 엔트로피의 개념을 어떤식으로 받아들이면 좋을까요?

[이 게시물은 sysop님에 의해 2016-12-09 20:20:37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

댓글 7

긍정이님의 댓글

긍정이

아직 고등학생이라면 굳이 사전에 예습은 그정도면 될 것 같은데요? 나머지는 전공분야 고수인 학과 교수님들께 문의하시는 것이 더 빠를 것 입니다.

Hithere님의 댓글

Hithere

아무리 봐도 시간 낭비인데.... 돈내고 배우러 오는 건데, 그걸 미리 알고 간다? 왜 이런짓을 하지?

케일님의 댓글

케일 댓글의 댓글

서두에 안적었는데 편입준비생이라 면접또는 전공시험준비중입니다

AusKo님의 댓글

AusKo

고등학생이면 그정도로 충분하다고 봅니다

Allen님의 댓글

Allen

모든 평면 힘은 x성분과 y성분으로 나뉘어집니다.
x성분의 힘은 x축방향의 운동만 결정하며 y성분의 힘은 y축방향의 운동만 결정합니다.
간혹 트러스 같은 경우 축방향의 힘만 받는경우가 있는데, 이는 이력부재의 원리에 의해 그렇습니다.
원리가 달라지는건 아니지만 모멘트 평형 식을 세워보면 x방향과 y방향힘의 비율을 알 수 있고 그 결과가 정확히 축방향이 됩니다.
각운동원운동이야기는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네요.

루시우님의 댓글

루시우

1. xy성분으로 나누는 이유
임의의 좌표계를 사용해도 문제를 풀 수 있겠지만, 가장 많이 통용되는 xy좌표계의 성분으로 표현하는 것이 혼동을 줄이기 쉬워서 그렇겠지요. 예를 들어 xy좌표에서 45도 기울어져 있는 임의의 좌표계 uv를 상정하고 힘의 성분을 나누어 풀어도 답은 동일하게 나올 것입니다. 다만 그런 경우 중력의 방향이나 이런것들이 각 좌표 성분별로 섞여있어서 계산이 복잡해지겠지요.

2. 각운동과 원운동에서 en과 et, er과 e\theta로 나누는 이유
각운동에서는 임의의 궤적을 따르는 좌표계에서 특정 위치에서의 normal과 tangent 방향의 성분을 en, et로 표현하게 되는데요. 이를 조금 더 이상적인 상황으로 만들어서 각운동의 궤적을 완벽한 원형으로 놓고 보면 en은 er과, et는 e\theta와 상응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원운동이라는 특수한 경우에 해당하는 notation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상황인 각운동과 구분하려는 의도인 것 같습니다.

3. 각운동과 원운동에서 속도벡터의 차이
뭔가 착오가 있는 듯 합니다. 각운동이나 원운동이나 기본적으로 속도벡터는 운동방향을 향하고 있습니다. 가속도를 나타내는 벡터는 반경방향일 수 있겠지만, 속도벡터는 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맞을겁니다.

4. 엔트로피의 개념
이건 너무 장황해질 것 같아서,,,, 쉽게 생각하면 무질서도인건데 이정도는 아실테고
열전달이 있는 곳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어떤 물리량. 이라는 정도의 설명밖에는 지금단계에서 드릴 수 있는게 없겠네요.

편입 준비 잘하셔서 좋은 결과 거두시길 바랍니다.

dk님의 댓글

dk

핀요? 경칩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세요

과학기술Q&A

SLIDE UP

모바일에서는 읽기만 가능합니다.
PC 버전 보기
© 2002 - 2015 scie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