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 KISTEP] "2003 과학기술연구활동보고서" - 소요유

글쓴이
sysop2
등록일
2004-01-26 12:35
조회
5,445회
추천
37건
댓글
0건
이 름    소요유
 
제 목    [과학기술부: KISTEP] "2003 과학기술연구활동보고서"
 
과기부 홈페이지 (http://www.most.go.kr )의 정보마당 - 정책자료 (#483)에 12월 19일자로 조정평가과에서 "2003 과학기술연구활동보고서"가 올라와 있습니다. 자료가 너무커서 (~12MB, pdf file) 자료실에 올릴 수가 없군요. 관심있으신 분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내용을 흝어보니 의미있는 자료들이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 좋은데, 그림을 올리는 법을 모르겠군요.

우선,  주요국과의 비교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표는 제가 위 보고서에서 자료를 뽑아 임의로 만든 것입니다.

----------------------------------------------------------------------------------------
    국가      연구개발비(총액)    GDP대비    국민1인당    정부부담비율      연구비사용처
                (2002, 백반달러)      (%)            (달러)            (%)        기업    대학    비영리
----------------------------------------------------------------------------------------
  한국          14,443                  2.91            303              26.3        74.9      10.4    14.8

  미국          292,170                2.82            991              33.8        72.9      14.9    12.5

  일본          127,890                3.09          1,005            26.6        73.7      14.5    11.8 

  독일            47,165                2.50              572            31.9        70.0      16.5    13.5

  프랑스*        28,889                2.20            474            40.3          62.4      18.5    19.1

  영국*          27,045                1.90            460            35.9          67.4      21.4    11.1

  중국*          12,863                1.09              10              -              -            -      -
 
  대만*            6,623                2.16            296            35.1          -            -        -
 
핀란드*          4,141                3.40            798            26.7          71.1      18.1    10.8

아일랜드*        1,197                1.17            311            25.2          68.5      22.0      9.5
------------------------------------------------------------------------------------------

한국은 과학기술 연구비에 있어서 정부부담률이 낮은 축에 들어가는군요. 대만을 제외하고 일본을 비롯한 후발 주자들은 정부부담률이 낮은 대신에 기업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기업의 연구능력이 어느 정도인가가 관건이 되겠군요. 그런데 아래 우리나라 기업의 연구원 구성을 보면  '심도있는 연구를 이룰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이 나타나는 게 문제겠군요.

연구비 투자에 있어서 GDP 대비는 어느 정도 따라간다고 할 수 있겠지만 최근 급격히 성장하는 그룹에 비하면 아직 약하고, 국민 1인당 소득을 생각하더라도  1인당 연구비 투자가 아직 작은 상태로 생각됩니다.

----------------------------------------------------------------------------------------
    국가        비목별 연구개발비(%)          성격별 연구비 (%)    연구원수  인구1000명당  인구
              인건비    경상비    기타      기초    응용      개발                    연구원수      만명
----------------------------------------------------------------------------------------
  한국      36.7        46.6      16.7      13.7      21.7      64.6    141,917          6.2        29.8

  미국      99.74                    0.26      18.1      20.8      61.1  1,261,227        8.6        45.2

  일본      42.5        45.1        12.4      14.2      23.6      62.2    675,898        10.2        53.1

  독일      58.7        31.4          9.9        -          -          -      259,597          6.7        31.5

  프랑스*  90.0                      10.0      24.4      27.5      48.1    172,070        7.1          28.4

  영국*      -              -          -          -          -          -        157,662        5.5        27.0

  중국*      -              -            -        -          -          -        742,000        1.0          -
 
  대만*      -            -            -        -          -          -        59,658        6.4          -
 
핀란드*    53.1      40.5          6.4      -          -          -          36,889        15.8        71.1

아일랜드*      -        -            -        -          -          -            8,516        5.0        22.4
------------------------------------------------------------------------------------------


역시 연구예산에 있어서 한국은 인건비의 비중이 낮군요. 즉 연구원들을 세계 주요국에 비하여 싸게 부려먹는다는 이야기가 되겠네요.  그건 그렇고 경상비 비율이 세계 최고수준으로 왜그렇게 높을까요?

그리고 기초연구비 투자비율도 낮은 편에 들어가는군요. 인구수에 대한 연구원 비율은 높은편이 아니군요. 특히 주요경쟁국 보다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 자료 이외에 두개의 아주 의미있는 자료가 올라와 있습니다. 그 하나가 기관별 학위별 분포를 그린 그림이고, 다른 하나가 연구개발 주체별, 세부 전공별 분포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뒤의 자료는 앞으로 그일을 하실 분들에게도 아주 요긴한 자료가 될 듯합니다.  뒤의 자료는 좀 복잡합니다. 관심 있으시면 직접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관별 학위별 분포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는 명입니다.
-----------------------------------------------------------------------------------------
            학위                  공공연구기관            대학            기업체              전체
-----------------------------------------------------------------------------------------
            박사                        6,426                35,917            7,324              49,667

            석사                        6,409                20,116          37,596              64,121

            학사                        1,124                  1,239            65,249            67,612

            기타                          135                    362            7,991                8,488
------------------------------------------------------------------------------------------

이 통계는 기업체의 기대에 비하여 역할이 못 미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군요. 특히 우리가 하이테크 기술로 승부한다고 한다면 말이죠. 우리가 평소에 생각해왔던 것을 뒷받침해주는 자료겠네요. 


 
 

  배성원 총인원18만 9천 888명이로군요. 중국은 일인당 10달러만 써도 머리수가 많아서...^^; 이 자료를 보면 우리와 비슷한 규모의 나라들이 의외로 연구개발이란것에 크게 신경안쓰는것으로 보이네요. 그러나 독일, 프랑스 등 소위 열강에 속했던 국가들은 최소 2배로군요. 우리나라가 어떤 경계선상에 서있는 느낌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론, 연구개발 투자가 결코 작다고 할 수준은 아니라는 거죠. 남보다 투입도 많고 일은 더 죽어라 하는데 성과는 별로 나지 않는 '비효율' 병이 들어있다는 방증이라고 생각됩니다. 결코 길다고 할수 없지만 짧지도 않은 우리 연구개발 역사를 잘 반성하고 연구개발 체제를 점검해볼 때가 된거 같습니다. 또 한번 들었다 놔봤자 변하는거 하나없고 일선해서 일하는 현장연구자들만 개피본다는 말이 안들리도 2004/01/16 x 
 
  배성원 해야지요. '체제의 개혁'은 윗선에서 끝나는 것입니다. 체제의 개혁을 하자고 하는데 과기부 국과장들 자리보전 그대로, 각종 유명무실 단체 그대로, 연구소 직제 그대로.... 겨우 한다는 짓이 일선연구하는 소과제나 통페합하고.... 연구원 자르고.... 이제 그런 하늘 부끄러운 짓은 제발 하지 말고 제대로 개혁해야 합니다.  2004/01/16 x 
 
  배성원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이... 일본인구가 한국의 약 2.5배 많죠? 그런데 연구원수는 약 5배 많군요. 그 자체의 고용효과도 있겠고.. 좋은 연구의 결과로 발생할 신규고용의 창출효과도 크겠습니다. 어찌보면 연구개발에도 나름대로 규모의 경제가 통용되는거 아닌가 싶은데요... 각 나라마다 그에 맞는 크리티칼 매스를 넘어선 인원을 유지해야 연구개발 활동의 효과가 극대화 되는거 아닌가.......  2004/01/16 x 
 
  Simon 무려 532쪽에 달하는 방대한 자료군요. 일단 down은 받아 놓았는데... 2004/01/17 x 
 
  조준호 우리나라 전체 이공계 박사학위자의 70%가 대학에 있다는 말이 사실이군요.  2004/01/17 x 
 
  노숙자 방대한 보고서이군요. 그러나 연구활동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가 없는 것이 아쉽습니다. 문제점이나 현안이 무엇인지 물었을때, 대답할 수 있는 조직이 되어야 한다고 그랬던가 ~ 2004/01/18 x 
 
  노숙자 연구개발의 과제 선정과 조직 구성, 품질 관리, 평가 활동 등 소프트웨어적인 요소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연구 결과가 엔지니어링으로 연결되는 고리는 튼튼한지, 제조와 상품화에 잘 적용되는지, 기업 활동에 실제 기여를 하는지 검토하는 기능은 누가 하는 건지 ~  2004/01/18 x 
 
  노숙자 장개석 군대가 미국으로부터 천문학적 군사 원조를 받았지만, 거지나 다름없는 홍군에게 패퇴한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장개석 군대의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 정설인 것처럼, 투자규모 등 연구개발 외형만 봐서는 별 문제를 느끼지 못하겠습니다만, 내부는 냄새가 심해서 제외한게 아닌지 우려됩니다. 2004/01/18 x 
 
  황인태 경상비 비율이 높은건 접대비를 명목상 경상비로 돌린게 아닐까 추측됩니다. 2004/01/19 x 


 2004년 1월 16일, 회원자유게시판에서

 http://www.scieng.net/zero/view.php?id=now&page=4&category=&sn=off&ss=on&sc=on&keyword=&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5213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261 아시아-태평양의 '재료과학 (materials science) & 물리학' 댓글 5 소요유 04-23 3223 2
260 [또... 연합기사에서펌] "정보화에 2006년까지 71조 투입" - 엄청 퍼붓는 군요. 댓글 2 소요유 04-17 2984 0
259 [연합뉴스기사] `민간연구소 78% 박사 연구원 없다' 댓글 10 소요유 04-16 3562 0
258 과학기술인의 국회 진출? 댓글 3 한대희 03-27 3288 3
257 관료(과기부)출신으로써 출연연 감사로 재직중이신 분의 글 배성원 03-27 3393 0
256 3월 26일 과학재단주최 토론회 발표자료 자료실에 sysop 03-27 2856 0
255 프랑스도 동병상련? 댓글 5 배성원 03-25 3541 2
254 [논의] 수급불균형이냐? 사회구조냐? [장기적인, 그러나 확실한 해결책] 댓글 2 배성원 03-18 2844 0
253 일단 시스템부터.......... Yanne 03-18 2739 0
252 답변글 [re] 대강의 정책결정과정입니다 댓글 14 김세진 03-18 2859 0
251 '과학기술인 사기진작방안' 이라는 과학기술정책연구소의 보고서를 자료실에 올렸습니다. 댓글 19 소요유 03-15 3310 0
250 To ensure economic growth, universities to train more scient… Hana 03-14 2909 1
249 Is the Central R&D Lab Obsolete? 댓글 1 Hana 03-14 3034 0
248 A Method for Forecasting the Demand for Scientists and Engin… Hana 03-14 2976 1
247 "Reinventing the Research University" Hana 03-14 2995 1
246 utilization of research 댓글 1 Hana 03-14 3034 0
245 "Bohr, Pasteur, and Edison: Models for Science" 댓글 1 Hana 03-14 3276 0
244 "How Graduate Education Must Be Changed" 댓글 1 Hana 03-14 3092 1
243 한국의 주요 산업 현황 및 변화 추이 댓글 1 이동엽 03-12 3457 2
242 필독부탁 - 이공계 기피 문제에 대해... 댓글 7 과학동아 03-07 3575 2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