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한 조선의 천재' 장영실과 정약용을 기억하며 - 신동호

글쓴이
sysop
등록일
2002-02-26 00:22
조회
6,506회
추천
6건
댓글
0건
동아일보에 제가 쓴 컬럼입니다.

이 커뮤니티에 나온 목소리를 담느라 노력했습니다.

 

 

이공계 기피가 일파만파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40년 전 경제개발계획 시작 이후 과학기술자는 조국 근대화의 기수로 칭송돼 왔다. 하지만 IMF 사태 이후 해고, 취업난, 박봉에 크게 시달리면서 불만 세력으로 탈바꿈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자 홀대는 올 대학입시에서 극심한 이과 기피를 초래해 서울공대는 초유의 미달 사태에 직면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공돌이'(공대 출신의 비속어)와 '과학도'의 분노가 들끓고 있다.

"내 아이는 절대 공도리 안 시킨다. 공부가 어렵고, 배를 곯고, 직업수명이 짧고, 천대받으며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기술직 우대해야 선진국 가능

"한국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핸드폰 만들어 먹고사는 나라다. 그런데 국회의원, 장관, 공무원은 문과 출신이 거의 다 해먹는다."

한국사회의 뿌리깊은 기술직 차별은 이공계 기피 사태를 계기로 '문과와 이과 문화의 정면 충돌'로 비화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조선 이래 우리에게는 과학기술로 도약할 두 번의 기회가 있었다. 하지만 기술직 천대가 매번 발목을 잡았다.

만원짜리 지폐에 인쇄된 '자동제어 물시계' 자격루를 만든 장영실은 노비였다. 세종 시대의 찬란한 과학 문명은 '기생의 아들'을 궁궐의 연구실로 불러들여 종3품까지 승진시킨 세종의 발탁 인사가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하지만 장영실은 자신이 만든 세종의 마차가 행차 중 부서지는 바람에 장형 80대를 맞고 역사에서 사라졌다. '고독한 조선의 천재'가 능지처참 바로 밑의 극형을 견뎌냈는지, 다행히 살았다면 언제 어디서 눈을 감았는지 아무런 기록이 없다.

17세기 실학 사상의 등장은 사농공상의 신분제도를 타파하고 근대화를 앞당길 두 번째 기회였다. 하지만 45근의 힘으로 2만5000근의 돌을 들어올리는 거중기를 발명해 수원성을 축조한 정약용을 비롯, 대부분의 실학자가 꿈을 펴지 못하고 유배되거나 불우한 말년을 보냈다.


공무원고시 문과만 대거 등용

지금의 세 번째 기회는 어떠한가. 많은 언론이 기술 변혁에 발맞춰 정부의 공무원 채용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해 행정고시로 233명, 기술고시로 41명을 뽑았다. 5대 1의 문과 대 이과 채용 비율은 '남산 위의 저 소나무'처럼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없다. 현정권이 지역 차별은 어느 정도 없앴지만 훨씬 더 뿌리가 깊은 기술직 차별은 없애지 못했다.

우리의 행정고시와 비슷한 일본의 공무원 1종시험에서는 지난해에 기술계 263명, 사무계 241명을 뽑았다. 오히려 기술계가 많다. 6T를 범국가적으로 개발하겠다고 해놓고 '문과 출신'만 대거 등용하는 정부가 '과학기술자를 우대한다'고 외쳐댄들 누가 믿겠는가.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61 어떻게 정치에 과학기술인력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을까요? - eyeofboy 댓글 2 sysop2 04-05 5207 19
160 scieng에 하달되는 비밀문건 (외부 반출 감사) - greatscience 댓글 1 sysop2 04-05 6590 17
159 너희가 카오스를 아느냐 - 정우성 sysop2 04-05 5433 20
158 이 시기에.....우리 이공인들이 가져야할 자세는... - 이직자 sysop2 03-22 6819 24
157 수도권과 대학에로의 인력 집중현상 완화가 필요는 합니다만... - 이웅 sysop2 03-22 5439 11
156 과기인들은 좀더 무식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 정암 sysop2 03-22 5294 10
155 이공계 위기, 기업은 인재타령할 자격 있나? - 최성우 sysop2 03-22 5654 13
154 어떤 선생의 경우... - Simon 댓글 2 sysop2 03-02 5807 12
153 (물리학을 통해 본) 좋은 과학연구가 취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 - ??? sysop2 02-24 5580 8
152 성공적 엔지니어의 조건, 역할의 계층구조, 학습방법 - ??? 댓글 6 sysop2 02-24 12434 16
151 이공계 위기의 본질은 의사들이 아니죠.. - 이현호/nobody sysop2 02-24 6464 12
150 이.공.계? 무엇을 이야기하고 무엇을 듣나? - 박태진/Kim Taeyun sysop2 02-24 6523 7
149 아직은 이공계인들의 힘이 너무 약한듯.. - 이민주 sysop2 02-24 7553 13
148 이공계 대책, 제발 좀 제대로 해라. - 맹성렬 sysop2 01-31 6566 44
147 이공계 기피 물레방아 - Raphael 댓글 1 sysop2 01-30 6139 44
146 차라리 고학력 실업을 방치하라. 인력저수조 땜빵은 이제 그만!!! - 박상욱 댓글 2 sysop2 01-26 6624 47
145 시장원리가 만능인가? - 노숙자 sysop2 01-26 5295 69
144 중소기업에서 대기업까지... (경험담... 공대박사) - 틀안에서 댓글 6 sysop2 01-26 11567 37
143 [과학기술부: KISTEP] "2003 과학기술연구활동보고서" - 소요유 sysop2 01-26 5454 37
142 이공계 대학원생의 위상 변화 - 정우성 sysop2 01-26 6894 36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