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수상자가 과학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주는 네 가지 조언

글쓴이
박재우
등록일
2003-11-30 20:57
조회
5,477회
추천
33건
댓글
1건
그림설명 : 명확하지 않고, 밝혀지지 않은 과학분야로 뛰어드는 것은 창조적인 연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스티븐 와인버그(Steven Weinberg)

스티븐 와인버그는 오스틴의 텍사스 대학교, 물리학과에 재직 중이며, 이 에세이는 2003년 6월 맥길 대학교 학위 수여식에서 저자의 졸업식 연설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내가 학사학위를 받았을 때, 물리학 문헌들은 나에게 방대한 미지의 대양처럼 보였고, 나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물리학의 모든 부분들의 대략적인 지도를 작성해야만 했다. 이미 연구된 것들을 알지 못하고 내가 어떻게 무언가를 할 수 있을까? 다행스럽게도 내가 대학원 첫 해에 만난 선배 물리학자들은 나의 걱정에 대해 일단 나의 연구를 시작하고 진행하면서 내가 알아야 될 필요가 있는 것들을 골라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것은 성공 아니면 실패였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것이 맞다는 것을 나는 알게 되었다. 나는 그럭저럭 빨리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렇지만 그 당시, 나는 물리학에 대해 거의 아는 것이 없었다. 그렇지만 나는 한 가지 커다란 사실을 배웠다. 그 사실은 아무도 모든 것을 알 수는 없고, 당신도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대양에 관한 비유를 이어가자면, 또 한 가지 배워야 할 교훈은, 헤엄쳐 가는 동안 당신은 거센 물살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1960년대 후반에 MIT에서 가르치고 있을 때, 한 학생은 내가 연구하고 있는 입자 물리는 혼란스럽게 보이는 반면, 일반 상대론은 그 원리가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신은 일반 상대론 쪽으로 연구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 때 나는 그 학생이 반대로 입자 물리를 연구할 완벽하게 좋은 이유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입자 물리는 창조적인 연구활동이 여전히 이루어 질 수 있는 분야였다. 사실 1960년대에 입자 물리는 그야말로 혼돈이었다. 그렇지만, 그 때부터 많은 이론 및 실험 물리학자들의 연구에 의하여 입자 물리의 혼돈은 해결되어 왔고, 거의 모든 것이 표준 모형이라는 아름다운 이론에 의해 설명되었다. 내가 해 주고 싶은 충고는 혼돈 속으로 들어가라는 것이다. 거기에 연구할 것이 있다.

나의 세 번째 조언은 아마도 가장 어려운 것이다. 시간을 낭비하는 것에 대해 당신 스스로를 용서하는 것이다. 유별나게 엄한 교수가 아니라면 지도 교수는 자신이 풀릴 수 있다고 아는 문제들만 학생들에게 시키게 된다. 그 문제가 과학적으로 중요한가 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리고 학생들은 학위를 마치기 위해 그 문제를 풀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어떤 문제가 중요한지 아는 것은 매우 어렵고, 당신은 그 당시에 어떤 문제가 해결 가능한 것인 지도 알지 못한다. 20 세기 초에 로렌츠(Lorentz)와 아브라함(Abraham)등과 같은 몇몇 선두 물리학자들은 전자의 이론은 밝혀내기 위해 노력했다. 이 연구는 부분적으로 에테르를 통과하는 지구 움직임의 효과를 감지하기 위한 시도가 왜 번번히 실패하는 가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었다. 우리는 지금 그들이 잘못된 문제에 매달렸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 당시에는 양자역학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도 성공적인 전자의 이론을 개발할 수 없었다. 해결할 수 있는 올바른 문제가 공간과 시간의 측정에 있어서 움직임의 효과라는 것을 깨달은 것은 1905년의 아인슈타인이라는 천재였다. 그리고 이 문제는 아인슈타인으로 하여금 특수 상대성 이론을 고안하게 하였다. 당신이 어떤 것이 풀 수 있는 올바른 문제인지 알지 못하는 한, 실험실에서 혹은 당신의 책상에서 보내는 대부분의 시간은 낭비될 것이다. 당신이 창조적이 되길 원한다면 당신은 대부분의 시간을 창조적이지 않게 보내서 과학적 지식의 대양에서 전진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것에 익숙해 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의 역사와 관련된 것이나, 혹은 최소한 당신의 연구 분야의 역사만이라도 알아 두라는 것이다. 그 이유야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최소한 그러한 역사는 당신의 연구 활동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유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종종 과학자들은 프란시스 베이컨으로부터 토마스 쿤이나 칼 포퍼와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제안되어 온 과대하게 단순화된 모델을 믿음으로써 연구에 방해를 받는다. 이러한 장애물에 가장 좋은 방어수단은 과학의 역사에 대한 지식이다. 더 중요한 이유로, 과학의 역사는 당신의 작업이 당신에게 훨씬 가치 있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과학자로서 당신은 아마도 부자가 될 가능성은 없을 것이다. 당신의 친구들이나 친척들은 아마도 당신이 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 할 것이다. 그리고 당신이 입자 물리와 같은 분야에서 연구를 하면 당장 쓸모 있는 무언가를 한다는 만족감을 얻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당신의 연구가 역사의 일부가 된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당신은 엄청난 만족감을 가질 수 있다.

100년 전을 거슬러 1903년을 돌아보자. 1903년의 영국의 수상이 누구였는지, 혹은 미국의 대통령이 누구였는지가 지금은 얼마나 중요한가? 정말로 중요하게 두드러지는 것은 맥길 대학교에서 어네스트 러더포트(Ernest Rutherford)와 프레드릭 소디(Frederick Soddy)가 방사능의 성질을 연구했다는 것이다. 그 연구는 실제로 활용이 되고 있으며, 더더욱 중요한 것은 그 연구의 문화적 의미이다. 방사능에 관한 이해는 물리학자들이 태양과 지구의 중심이 수 백만년이 지난 후에도 어떻게 여전히 뜨거운 지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그리고 이것은 많은 지질학자들이 생각했던 지구와 태양의 엄청난 나이에 관한 마지막 과학적 장애물을 제거해 주었다. 그 후에 크리스천들과 유대교도들은 성경에 기반한 믿음을 포기던지, 아니면 그들 스스로 지식인임을 포기해야만 했다. 그것은 갈릴레오로부터 시작해 뉴턴과 다윈을 거쳐 현재에 이르는, 여러 번 종교적 독단의 지배를 약화시켜 온 연속적 발걸음에서 단지 한 발자국이었다. 이러한 활동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는 것은 요즈음 아무 신문이나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과학자들이 자랑스럽게 느낄 수 있는 문명화 작업이다.


출처: Nature 426, 389 (27 November 2003)



스티븐 와인버그(Steven Weinberg)

국적 : 미국
활동분야 : 물리학
출생지 : 미국 뉴욕
주요수상 : 노벨물리학상(1979), 오펜하이머상(1972)
주요저서 : 《중력과 우주론 Gravitation and Cosmology》(1972)

뉴욕 출생. 1954년 코넬대학을 졸업, 1957년 프린스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57∼1959년 컬럼비아대학, 1959∼1960년 로렌스방사능연구소, 1960∼1969년 버클리의 캘리포니아대학 조교수 ·연구원 등을 거쳐, 1969∼1973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 물리학 교수, 1973년 하버드대학 교수 겸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소 주임연구원, 1983년 텍사스대학 교수가 되었다.

장(場)의 양자론에서 우주론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으로 연구했다. 약한상호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통일적 모형과 소립자(素粒子)의 통일모형을 제출했고(1967), 양자색역학(量子色力學)을 전개했다.

이와 같은 업적으로 1979년 A.살람, S.L.글래쇼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받았고, 오펜하이머상(1972),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1977)을 받았다.주요저서로 《중력과 우주론 Gravitation and Cosmology》(1972) 《태초의 3분간 The First Three Minutes》(1977) 등이 있다.

http://100.naver.com/100.php?id=116984&cid=AD1057742420807&adflag=1

  • Simon ()

      모처럼 힘이 나는 그런 글입니다. 좋은 기사 감사!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500 미국 전력망 매우 취약한 것으로 밝혀져 댓글 1 실피드 01-27 4802 3
1499 사람은 왜 잠을 잘까? 댓글 1 아즈 01-24 6812 3
1498 연료전지에 올인하지마? - 다보스 포럼 발표자가.. 박상욱 01-24 5250 5
1497 저글링이 머리를 좋게 한다? 박상욱 01-24 4936 4
1496 탄소나노튜브를 촉매담체로 이용한 연료전지 개발 박상욱 01-24 7590 3
1495 척추손상 고치는 액체 개발 아즈 01-24 5267 3
1494 '젖은' 바이오 칩이 단백질을 보존한다. 샌달한짝 01-24 4780 3
1493 MIT 테크리뷰 선정, 떠오르는 미래 10대 기술 Simon 01-21 9268 3
1492 별 생성의 새로운 메커니즘에 대한 증거 박재우 01-19 4836 0
1491 부시 대통령, 달에 손을 뻗치다. 댓글 3 박재우 01-17 5372 0
1490 박소정 박사, 미국화학회에서 올해의 대학원생으로 선정 준형 01-16 8868 2
1489 이집트 무덤에서 최초로 발견된 사자(lion)의 미라. hiafrica 01-16 5071 0
1488 베트남도 조류독감 파동 아즈 01-15 4875 0
1487 매력의 공식 댓글 1 아즈 01-15 5190 0
1486 바이오칩이 모든 실험장비를 하나로 통합한다. 샌달한짝 01-13 4874 1
1485 알츠하이머 병을 약물로 치료 실피드 01-12 5259 1
1484 FDA, 실리콘 유방 임플란트 제품 최종 승인 거부 댓글 1 Simon 01-09 5463 0
1483 사물의 행동을 감지하는 소프트웨어상품화 샌달한짝 01-07 4980 4
1482 물수제비의 비법, 밝혀지다 댓글 1 실피드 01-06 7990 0
1481 토성, 30년만에 지구 최접근 실피드 01-02 4590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