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 (10의 -18승) 그램의 질량 측정

글쓴이
박재우
등록일
2004-02-24 11:25
조회
7,777회
추천
4건
댓글
2건
코넬 대학의 크래익헤드(Craighead) 교수의 연구진이 리소그래피 방법으로 제작된 나노전기역학(NEMS) 소자로 10의 -18승 그램인 아토(atto) 그램의 질량 측정에 성공했다. 지난 해 Oak Ridge National Lab에서 10의 -15승 그램인 펨토(femto)그램의 측정에 이어 정밀도에서 1000배나 향상된 결과이다.

아토그램의 질량 측정의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다. 그림1에 나타난 가늘고 긴 실리콘 조각으로 이루어진 캔틸레버 위에 작은 입자가 얹혀지게 되면 캔틸레버의 공명 주파수가 변하게 되고, 이 공명 주파수는 캔틸레버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재미있는 비유를 들자면 아토 그램의 입자가 다이빙 보드 위에 들어서고 그 때의 보드의 탄성을 반사되는 빛으로 측정을 하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작은 금조각의 질량 측정에 성공했고, 궁극적으로는 바이러스의 관찰과 질량 측정이 목표이다. 이 연구그룹에서 제작한 캔틸레버는 상온에서 4 마이크로미터의 길이에 500 나노미터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질량측정의 정밀도는 0.39 아토그램으로 예상되고 있다. 캔틸레버의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젭토(zepto, 10의 -21승) 그램까지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인용
Physics News Graphics
http://www.aip.org/enews/physnews/2004/split/673-2.html

- 참고문헌
Journal of applied physics, 95, 5 p2682 K. L. Ekinci et al. (March 1, 2004)
Journal of applied physics Ilic et al. (출판예정)

  • cantab ()

      거시규모에서의 역학 기본법칙에 저렇게 미시와 나노의 세계에서까지 그대로 적용된다는게 참 흥미롭습니다. 그런데 뭣도 모르는 사람들은 연속체역학과 나노역학을 별개의 세계로 생각하고 쳐다볼 생각도 안하더군요.

  • 익명좋아 ()

      뭣도 모르는 사람들=뭣도 아는 사람들이 용서해줘야할 사람들.... :-)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581 밤하늘이 어두운 이유? 댓글 1 hiafrica 07-22 16311 52
1580 현실과의 구분이 없어진다 - 가상현실(VR) 최성우 07-21 12760 11
1579 알고 보면 신비로운 지구의 위성 - '달' 최성우 07-17 8500 25
1578 입체영상, 어떤 것들이 있나? 최성우 07-11 10253 13
1577 힘과 세포 사이-포웰즈를 찾아 Simon 07-04 8114 21
1576 빛의 속도로 계산한다 - 양자컴퓨터 최성우 06-30 13500 16
1575 꿈의 입체영상-홀로그래피 TV는 가능한가? 최성우 06-24 7788 35
1574 TRIZ - 이제는 연구개발 혁신에 체계적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긍정이 06-17 8466 26
1573 중성미자에 질량은 있는가? 댓글 2 이만불 06-14 8056 32
1572 텔레비전의 역사 최성우 06-11 14922 43
1571 상대론, 최후의 심판대에 서다 댓글 5 실피드 06-07 7457 17
1570 기업이 요구할 인재, 나라에 필요한 인력 Simon 06-04 7292 16
1569 금보다 소중한 프랑스 과학자들 준형 06-03 6530 13
1568 조물주가 바뜨린 유일한 창조물 댓글 1 최희규 06-02 6504 15
1567 우아한 우주 (The Elegant Universe) ... 댓글 1 최성우 05-28 7982 31
1566 별들의 나이가 더 늘어나다 실피드 05-25 6139 22
1565 파랑새는 왜 파란색인가 실피드 05-25 6515 26
1564 방사광 가속기의 이용 댓글 2 박상욱 05-24 7615 17
1563 만물은 끈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최성우 05-24 8299 21
1562 감성과 디지털의 만남 댓글 1 최성우 05-13 7153 2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