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암을 유발하는 붉은색 육류.

글쓴이
Scieng office
등록일
2005-01-13 15:54
조회
7,416회
추천
7건
댓글
0건
햄버거나 소시지, 스테이크와 같은 붉은색 육류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일수록 결장암이나 직장암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간의 보고에 따르면 다혈증(적혈구 과다증)은 붉은색 육류, 그리고 직장암(미국에서 사망률이 세 번째로 높은 암) 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 중에는 연구기간 동안 참가자들의 식습관이 바뀌기도 해, 연구결과의 신빙성에 문제가 있는 것도 있었다.

미국암학회인 ACS의 Michael Thun 연구팀은 1982년과 1992년에 근 15만명에 가까운 미국인들의 육류식습관에 관한 정보를 모았다. 연구팀은 그들을 육류섭취량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눈 후, 2001년에 이르기까지 직장암에 걸리는 환자들의 수를 기록했다.

그 결과, 가공육을 많이 먹은 집단은 적게 먹은 집단에 비해 결장암에 걸릴 위험이 약 두 배나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가금류나 생선을 가장 많이 먹은 집단은 과체중, 운동부족, 과일과 채소 섭취량 부족 등과 같은 다른 위험요인들을 모두 갖췄음에도 불구, 암발생률이 20~30%가량 낮았다.

ACS의 Marjorie McCullough에 따르면 붉은색 육류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인 연구결과들은 지속적으로 연구해서 보완할 필요가 분명 있지만, 당분간 사람들에게 붉은색 육류와 가공육의 섭취를 줄일 것을 권고할거라고 했다.

암발생률이 높은 집단의 사람들은 중간사이즈의 햄버거와 맞먹는 55g~85g정도 붉은색 육류나 가공육을 매일 먹은 셈인데, 고기의 어떤 성분이 암을 유발하는가에 대해선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철분, 요리과정 중에 발생하는 독소, 가공육을 보존하는 데에 쓰이는 질산 및 아질산염 등이 그 원인으로 추정될 뿐이다.

붉은색 고기 대신 생선, 가금류, 견과류와 콩 등의 섭취를 늘리면 직장암에 걸릴 확률을 낮출 거라고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의 영양전문가인 Walter Willett는 말했다. 그는 “그런 식습관은 직장암뿐만 아니라 심장병에도 좋다”라고 덧붙였다.

출처 : http://www.nature.com/news/2005/050110/full/050110-7.html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762 진공관의 재발견 최성우 11-30 3625 0
1761 2019년과 2001년 최성우 11-12 4460 0
1760 팔방미인의 물리학자 - 리처드 파인만 최성우 11-03 4441 0
1759 스포츠과학의 선구자 공기타이어? 최성우 10-31 3812 0
1758 외래종의 침입과 토종의 멸종 최성우 10-23 3802 0
1757 노벨상 수상 비결은 장수? 최성우 10-21 3177 0
1756 구닥다리 기술이 때로는 더 강하다 최성우 09-25 4004 0
1755 생일에 다시 생각해보는 마이클 패러데이 - 그는 실험에만 뛰어났을까? 댓글 3 최성우 09-22 5316 0
1754 좋은 '전자기파'와 나쁜 '전자파'는 서로 다른 것인가? 최성우 09-05 4567 0
1753 시급히 구축해야할 상향식 과학기술 거버넌스 체제 최성우 09-03 3123 0
1752 화약과 로켓무기의 발달사 최성우 08-18 4062 0
1751 화성과 유로파 최성우 08-09 3122 0
1750 기상예보의 역사와 오늘날의 일기예보 최성우 07-27 3752 0
1749 총포의 발달사 최성우 07-20 3948 0
1748 테슬라와 에디슨의 인연과 악연 댓글 2 최성우 07-14 4270 1
1747 과학기술(자가쓰는정치에관한견해)칼럼: DJ 사람들 댓글 2 시간 07-09 3493 0
1746 지구온난화 회의론, 근거는 있는가? 최성우 06-30 4020 0
1745 공명으로 무너진 다리들 댓글 1 최성우 04-13 7752 1
1744 수학의 난문제들 댓글 1 최성우 03-30 4858 0
1743 산소의 발견자는 누구인가? 최성우 03-20 5018 1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