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으로 공격성을 판단한다.

글쓴이
Scieng office
등록일
2005-03-10 17:14
조회
9,522회
추천
66건
댓글
4건

Alberta 대학의 Peter Hurd 박사 연구팀은 단지 남성들의 손가락 길이로 공격적인 성격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여성들은 해당없음).

연구결과에 의하면 검지가 약지보다 더 짧은 사람은 공격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공격성이란 신체적인 공격성을 말하는 것이지, 강압적인 언사 등 다른 성향에서의 공격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검지와 약지, 이 두 손가락 길이의 비율은 태아가 자궁 속에서 얼마나 많은 테스토스테론에 노출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되는데, 테스토스테론의 양이 많을수록 약지에 비해 검지가 짧다.
여성의 경우 보통 두 손가락의 길이가 비슷한 반면, 남성은 일반적으로 약지보다 검지가 훨씬 짧은 편이다.

Peter Hurd 박사와 그의 제자 Allison Bailey는 Alberta 대학 남학생 300명을 상대로 손가락 길이를 측정했다.

그 결과 약지에 비해 짧은 검지를 가진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공격적인 성향을 지닌 것으로 드러났다.

Hurd 박사는 현재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키 선수의 손가락 길이와 페널티 기록의 상관관계를 조사중이다.

“성격의 많은 부분이 자궁 속에서 형성된다. 그러나 손가락 길이로만 개인을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손가락 길이로 사람을 고용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한편, 최근 발표된 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 자궁 안에서 테스토스테론에 많이 노출된 여성일수록 두 손가락 패턴이 남성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http://news.bbc.co.uk/2/hi/health/4314209.stm

  • 최희규 ()

      허거.. 검지가 엄청 짧은디용...

  • -_-; ()

      아시다시피 과거의 골상학은 이제 폐기되었습니다. 아직도 이런 연구가 된다는 것이 신기하네요.. 두 손가락의 비율이 테스토스테론의 노출과 상관이 있다라는 것이 검증된 사실인지 궁금하구요. 태아기의 테스토스테론의 노출이 성격과 관련된다는 것이 또한 검증된 사실인지 궁금하구요.. 일반적으로 테스토스테론이 많은 사람이 남성성이 강하다는 얘기는 들었지만요.. 아직 사지 발달에 대한 발달 메커니즘이 완전히 규명되지도 않았고 열심히 연구 중인 것으로 아는데 테스토스테론 하나로 그렇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듯 하네요.. 그런데 이러한 것이 실제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란 생각은 듭니다. 다만 기사의 연구자들은 실제 메커니즘엔 관심이 없고 현상에만 관심이 있는 것 같군요.. 요즘은 음식이 신체 발달이나 질병에 연관되어지는 메커니즘 연구도 활발합니다. 아시다시피 필수 영양소가 모자라거나 넘치면 기형이 발생하는 수가 종종 있습니다. 또한 어릴 때 노출된 음식이 성인이 된 후의 질병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경우도 있구요.. 어머니가 비만인 경우 아이들이 비만인 경우가 많은데 이게 단순히 엄마가 먹는 습관대로 아이들이 먹어서가 아니라 엄마의 유전자에 음식물로 인한 변형(modification)이 생기고 이 변형이 아이들에게 유전된 경우 아이들은 엄마와 다른 식습관을 가지고 있어도 비만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들도 최근에 제기되고 있습니다. 음식도 약처럼 골라 먹어야 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릅니다...ㅎㅎㅎ

  • -_-; ()

      신기한 걸 발견했네요... 저는 왼손은 약지와 검지가 거의 같고(검지가 약간 김) 오른손은 검지가 엄청 긴디요.... -_-; 앞으로 공격성 제로라고 불러주시면 감사.....ㅋㅋㅋ

  • 얌생이 ()

      검지랑 약지가 헷갈리네.. 쩝.. 뭐였지..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801 생명의 기원과 진화의 결정적 순간들 최성우 02-28 2775 0
1800 '돼지'에 대하여... 최성우 02-20 2752 0
1799 원소들의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다. 댓글 3 최성우 02-11 3760 0
1798 현실과 똑같이 느껴지는 증강현실 게임이 가능할까? 최성우 01-28 2647 0
1797 지구와 닮은 외계행성은 얼마나 될까? 댓글 1 최성우 01-25 3250 1
1796 위험사회에 대비하는 법률과 제도 댓글 1 최성우 12-31 2234 0
1795 화성 탐사의 역사와 전망 최성우 12-29 3630 0
1794 유전자 맞춤 아기와 가타카 최성우 12-10 3034 0
1793 가장 어려운 물리 과목은? 댓글 4 최성우 11-30 3963 0
1792 미터법과 첨단과학기술 최성우 11-25 2379 0
1791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원천특허는 누구에게? 최성우 11-05 3349 0
1790 노벨 '종합과학기술상'을 신설해야 할까? 댓글 1 최성우 10-29 2556 0
1789 21세기 노벨 물리학상의 동향과 전망 댓글 1 최성우 10-18 3028 0
1788 올해(2018)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와 업적 최성우 10-16 3488 0
1787 리만 가설이 증명되면 과연 암호가 다 뚫릴까? 댓글 3 최성우 10-08 4629 0
1786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특허 공방 최성우 09-17 2854 0
1785 보물선과 영구기관 최성우 08-27 2577 0
1784 지구온난화는 사기극? 최성우 08-06 3069 0
1783 우주소년 아톰, 마징가Z, 그리고... 최성우 07-30 2978 0
1782 크로아티아, 테슬라, 교류 송전 댓글 2 최성우 07-25 3249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