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라는 제도를 아시는지요?

글쓴이
기술사
등록일
2002-02-23 21:30
조회
6,845회
추천
0건
댓글
0건
여러분 기술사(Professional Engineer, PE)라는 제도를 아시는지요..  박사는 대학에서 수여하는 최고의 학위이죠..

반면 현장에서 검증된 경험과 실무를 익힌 사람에게 수여하는 자격증이 기술사죠..

건축분야는 건축사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죠..

제가 졸업할때만해도(약 10년전) 기술사를 따기가 무척 어려웠습니다.

대졸후 현장경험 7년이상만 응시 가능했죠.. 보통 대졸후 10-15년 걸렸죠..

물론 자격을가지고 나면, 뿌듯했지요.. 생활도 가능했고 후배들한테 존경도 받구요..

근데.. 규제개혁한답시고.. 기술사의 선발인원을 대폭늘리고, 기술사나 건축사들에게 검토받아야되는

각종 제도를 없에버렸어요..

변호사나 공인회계사, 의사들에 대한 제도개혁은 무슨 개혁위원회를 설치해서 연구한다 했지요.

기술자들 참 순진하죠.. 그말 믿고 반발없이 그데로 정부 하자는데로 했죠...

변호사들 무슨 개혁위원회, 의사들 의료개혁 무슨 위원회.. 그들이 한게 뭐죠..?

국민위해 개혁하였나요?

 

지금 보시죠.. 30대 중반쯤되는 엔지니어들중 기술사 안가지고 있는사람이 없어요..

박사학위있고, 기술사 자격가지고 그렇지요.. 헌데 대우는 전보다 너무 열악해져버렸구요..

기술자로서의 프라이드,  사회에대한 의무감, 미래... 전부 없어져 버렸어요..

건축사 사무실에 대졸초임이 70만원도 있어요..

 

변호사, 공인회계사, 의사.. 아직도 대표적인 진입규제 구역이죠..?

사회의 안정을 유지한다는 이유로 진입규제를 할수 있는 남아있는 유일한 분야이죠..

한국사회는 더이상 예측할수 없는 어디로 막달려가고 있는 느낌이에요..

누군가가 시작했겠지요..

법조계, 의료계.. 얼마나 버틸수 있을까요..?

당신들과 함께 해줄 인텔리는 더이상 없어요.. 당신들 반대편에 서있을 뿐이죠


자유게시판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340 삼수냐 .....ㅡㅡ 유학이냐......ㅡㅜ 댓글 7 나두 공대생.... 07-27 4647 4
339 오늘 참 속상했습니다. 댓글 6 기계소녀.. 07-23 5256 0
338 답변글 [re] 저의 생각을 적어봅니다~ ^^ 댓글 1 박철현 07-26 4419 0
337 이공계 교수님들의 실수입 공개를 요구합니다. 댓글 4 포닥 07-21 6038 1
336 답변글 [펌] 국·공립 21개 대학, 사립 61개 대학 교수연봉 비교분석 댓글 16 임호랑 07-21 19338 1
335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 I : 대학원 교육 정상화 댓글 12 소요유 07-17 5619 0
334 [한겨레 기사] "손발 안맞는 외국인유학생 정책" 댓글 3 소요유 07-16 4545 0
333 이공계 살리는 길 댓글 8 임호랑 07-07 5578 0
332 확실히 의대의 주가가 높다는걸 느낄때... Ra 07-07 5620 0
331 이공계가 무너지는 소리... 댓글 2 임호랑 07-06 4743 1
330 아래 글에 부쳐.. 댓글 1 한철종 07-06 3790 1
329 [한겨례] 이공계인들이여 과학을 상품화 하라. 댓글 5 한철종 07-05 4874 0
328 [연합] 수면위로 떠오른 정통.산자부 통합론 ..?? 김덕양 07-04 3883 0
327 [단상] 프레시안 통해 본 W 부시 댓글 4 Simon 06-28 3768 1
326 [사설] 이공계 기피현상 해결됐다? 댓글 5 김일영 06-28 4701 1
325 [경향신문] 축구에서 경제가 배울점 댓글 6 박상욱 06-27 4752 0
324 답변글 [re] [경향신문] 축구에서 경제가 배울점 댓글 6 이공계2 06-28 4110 0
323 배고파 우는 아기(이공인), 장난감(미봉책)으로 달래는 정부 이상학 06-27 3821 1
322 물에 잠긴 용은 쓰지 말라 댓글 14 포닥 06-22 4837 2
321 [경향신문] ‘다이내믹 코리아’ 댓글 3 소요유 06-20 3879 1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