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시장이 어떻게 될까요?
- 글쓴이
- 늘그대로
- 등록일
- 2021-12-31 16:17
- 조회
- 1,847회
- 추천
- 0건
- 댓글
- 2건
관련링크
세계가 반도체 부족이 심각하고, 그래서 자동차 출고도 늦어지고 있다고 하고,
일본과 미국이 보조금을 주어가며 반도체 공장을 유치하려고 하고 있고,
Samsung
P-1 2017년 완공 (메모리)
P-2 2021년 완공 (EUV, 메모리 / 파운드리)
P-3 2022년 완공
P-4 2022년 착공 예측, 2024년 생산시작
미국 Texas Talyer 2022년 착공 예측, 2024년 생산시작 (파운드리)
P-5,6 2025년 착공 예측
TSMC
미국 Arizona Phoenix 2024년 생산시작 (파운드리)
일본 구마모토 2022년 착공 (파운드리: 차량용?)
평택의 새 공장을 짓고 있던 삼성으로서는 미국에 신공장을 투자할 여력이 많지 않았을 것 같은데,
2025년 쯤 되면 반도체 시장의 큰 변화가 올까요?
다른 사람들 의견
-
돌아온백수
()
파운드리 사업은 디램이나 플레쉬 처럼 단품 대량생산이 아닙니다.
12인치 만장 단위로 생산한다면 수백만개가 두어달이면 완성이 되요. 그걸로 몇년 장사할 수 있는 상품들이 대부분이죠. 그러니까, 주문 한번 받아서 납품하면 몇년 공치는 거죠.
그런 비지니스를 디램이나 플레시 비지니스와 같이 묶어서 생각하니까, 예측도 안되고, 대응도 안되는 거죠.
자동차용 반도체도 마찬가지에요. 계속 생산하는 거 아니거등요....
몇년에 한번 주문을 받거나, 매년 받아도, 잠간 생산하고 마는 거에요. 그러니까,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리는 것이구요.
모르면 용감하다고....
막말 대잔치에 행복하면 되죠 뭐. -
mhkim
()
차량용 반도체를 만드는데 딥서브마이크론 공정을 많이 사용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공정비용이 워낙비싸서 엄청나게 많은 물량을 사용하는 휴대폰용 반도체가 아니라면 채산성이 높지 않을 겁니다.
제가 엔지니어링 현업에 있을 때 삼성과 tsmc둘 다 사용해봤는데요. Tsmc 파운드리 비용이 삼성보다 싸지 않아요. 오히려 더 비쌌어요. 하지만 여러가지 비용을 장기적으로 고려 했을 경우 tsmc가 종합적으로 더 나았습니다. 그중에서 삼성의 가장 큰 약점은 ip경쟁력이었습니다. 조금씩 개선은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직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수율이 거의 전부입니다. 즉 원가경쟁력입니다. 삼성이 tsmc에 파운드리가 뒤지는 이유이기도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