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정원과 이공계 교육의 질

글쓴이
김덕양
등록일
2002-04-01 12:47
조회
3,801회
추천
2건
댓글
14건
사실 뭐라 쉽게 일반화 해서 이야기 할수는 없는 일이겠지만 일반국민들이 가장 쉽게 믿을만한 지표이고 가장 널리 이용되는 지표 한 가지만 가지고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자료출처는 교육개발원의 2000년 교육통계편람입니다. 우리가 지금 필요로 하는것은 논리적이고 정성적인 토론 또한 중요하지만 (그동안 계속 해온게 아닌가요? 그부분에 대해서는 다들 공감하시리라 믿습니다만) 어느 누구를 만나도 쉽게 제시해서 우리가 주장하는 바에 동의를 구할 수 있는 자료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동안 행동이 너무나들 부족했기에 이런 상황이 닥친게 아니었던가요? 자료조사에 힘을 모아주시기를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90년대 이후의 자료에 주목해주십시오.

              대학생수      교수수      교수 1인당 학생수
1970        59,264          2,709          21.9
1975        74,410          3,547          21.0
1980        166,137        5,357          31.0
1985        336,624        8,973          37.5
1990        419,891        11,660          36.0
1995        523,002        17,142          30.5
1997        614,796        20,863        29.5
1998        653,684        14,379          45.5
1999        698,620        14,556          48.0
2000        727,548        14,771          49.2
 
자연계열로 분류된 학생수이며 1998년 이후에는 조교의 숫자가 교수로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그전에 교수 1인당 학생수가 낮은 이유는 조교들이 같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1995년 1997년 그 비율이 갑자가 좋아진 이유는 거기에 있겠죠. 보시다시피 연속적으로 나빠져 왔습니다. 만일 1990년 이나 1995년 자료에서 조교 숫자를 뺄수 있다면 더욱 신빙성있는 자료가 될텐데 아쉽군요.

                대학원수  교수수    교수 1인당 학생수
1970        1,172          2,709        0.4
1975        2,878          3,547        0.8
1980        9,857          5,357        1.8
1985        18,055        8,973          2.0
1990        25,416        11,660        2.2
1995        37,703        17,142        2.2
1997        50,802        20,863        2.4
1998        59,594        14,379        4.1
1999        66,572        14,556        4.6
2000        70,691        14,771        4.8

학부를 맡는 교수 전체가 대학원을 맡는 다고 가정했습니다. 1998년에 갑자기 나빠지는 이유는 당연히 조교숫자 때문입니다. 보시다 시피 대학원에서도 심각해집니다. 1997년이후 2배로 나빠졌네요. 정원의 급작스런 증가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결과 생긴 교육환경의 저하가 학생들의 수준을 떨어트리는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하고 조심스럽게 결론을 내려봅니다.

물론 매번 첨단 기술관련된 프로젝트만 원하는 정부나 (그간 키워놓은 인력이 없으니 첨단이 될리가 있나요. 결국 유학하고 돌아온 사람들만 자꾸 시류를 타게 된 것이었죠) 연구개발에의 공정한 투자가 없이 자기들 입맛에만 맞는 사람들 찾는 기업에도 큰 잘못이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도 문제는 있습니다. 교수 숫자를 엄청나게 늘리든지 아니면 작은 숫자라도 (대학정원이 안되면 대학원 정원이라도) 줄여서 대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보여줘야 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소위 말하는 상위 몇몇 대학은 여기 제시된 자료보다는 더 우수한 교육환경(교수 1인당 학생수)를 보유하고 있지 않나싶습니다. 웹검색을 해보면 BK사업단 구성할때 이런 자료들을 제시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그부분에 대해서도 조사가 이뤄졌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혼자서만 계속 수치제시를 해보려고 노력중인데, 너무 역부족이네요. 흐.


 김 덕양 드림.

  • 배성원 ()

      제가 직접 느기기에 상위권 공대 대학원일수록 교수학생비가 더 악화일로를 걷고 있습니다. 지방 공대들은 대학원에 학생이 없어서 비율이 낮은 거라고 보는데...상위 대학만의 대학원에 관한 자료를 함 조사해 보면 어떨까요?

  • 김덕양 ()

      사실 이 자료로 제가 이공계 정원 축소만을 주장하자는 것은 아닙니다. 그동안 대학교육의 질이 계속 나빠져왔고 그게 기업이 연구인력을 한국에서 쉽게 뽑아쓰지 못하는 이유중 하나가 되지 않았나 하는 것입니다. 대학교육의 질 향상 또한 우리가 고심해야될 문제입니다.

  • 김덕양 ()

      왜냐면 정부가 할수 있는 일은 전체 연구개발비 사용액의 1/4수준이기 때문입니다. 결국에는 기업이 손을 뻗어줘야하는데 당장 이익에만 급급한 사람들 설득시키려면 우리 자체가 나서는 수밖에 없지 않나하는 생각입니다.

  • 김덕양 ()

      정원을 못 줄이면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국공립 대학 교수라도 많이 뽑고, 기업과 연관해서 추진하는 프로젝트를 계속 줘서 학생들이 기업에 파견되어 일하면서 학위를 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라도 해야될 것 입니다. 그동안 계속 이 방향으로 추진한다고 표명은 했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진게 뭐가 있나요. 쩝

  • 소요유 ()

      덕양님은 정원 증가를 그 이유로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지만 85년부터 10년간 교수 1인당 학생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습니다. 1997년 이후는 통계의 불확실성때문에  대체적으로 이야기 할 수 없습니다.  배성원님이 말씀하시는 상위권 대학의 경우  제가 1980년부터 현재까지  경험으로 교수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왔습니다.  1997년 이후는 IMF 이후의 이상이라고 볼 수있으므로 1985년부터 정확하게는 1981년부터  1996년까지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즉 96학번이 현재 석사말이겠지요.  문제는 대학원입니다. 대학원은 교수 1인당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그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문제는 통계가 제대로된 1998년 이후에 왜 대학과 대학원의 학생 숫자가 늘어났느냐 입니다.

  • 소요유 ()

      전체적으로 자료에 나타난 바는 교수대 학생비가 1981년 이후에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면 교육여건이 악화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1998년 이후만 생각하면 98학번은 아직 사회에 기여할 상황이 아니므로 이 근거를 갖고 이공계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 진 것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문제는 현재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1981 ~ 1997년 학번을 주목해 봐야 합니다. 우리 경험으로 정부는 그동안 꾸준히  대학교육의 전임교원화를 추진하여 왓습니다. 그동안 각종 지원도 이를 기반으로 하여왓습니다. 따라서 통계는 그동안 우리 대학의 교ㅕ육환경이 지속적으로 나아지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할 따름입니다.

  • 김덕양 ()

      제가 보기에는 1980년이후 상위권대학의 교수 확충에도 불구하고 교수일인당 학생수는 정원증가로 인하여 계속 증가되어온 것으로 보여집니다. 자료에서 1990, 1995, 1997년의 작은 수치는 전체 교수의 숫자를 셀때 일반 조교까지 넣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보다 정확한 자료는 각 학교별로 된 것을 찾아보아야할텐데, 저 혼자서 하기에는 역부족이네요.

  • 소요유 ()

      아마 1995년 이전에 조교숫자를 빼면 교수 1인당 학생수는 현재 나타난 숫자보다 훨신 많았을 것입니다. 아마도 이전의 통계에 시간강사도 포함되어 있지않을까 생각됩니다. 그전에는 사립대에서 시간강사 몇명을 전임교원으로 대체할 수 있는 조항이 있었습니다. 어째든지 덕양님이 보여주신 자료는 현재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공부할 무렵에는 대학교육기반이 꾸준히 나아졌다는 것을 반증하는 자료로 볼 수 있습니다.  1980년 이전은 1981년 졸업정원제 제도로 대학인원이 대략 50%가량 늘어났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기 바랍니다.

  • 소요유 ()

      제 경험으로 실제 대학교육 및 대학원 교육 환경은  지난 20년동안 뚜렸하게 좋아졌습니다. 즉 단순하게 숫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에 대한 투자 및 지원은 아마도 몇배 증가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현재 현장에서 일하는  분들 중에 7~80년대 학번들에게 물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전 석사때인 1980년대 중반에 추운 겨울 연구실의 난로 기름을 '제 아버지들 돈'으로 사서 썼습니다.  그렇지만 이제는 그런정도는 다 지원되지 않습니까 ?  간단한 예이지만 큰 차이입니다. 이제는 생활비를 받는 정도가 되엇습니다. 단순하게 우리으 ㅣ생활여건이 나아졌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어째든지 절대적인 지원이 나아졋습니다.

  • 김덕양 ()

      대학에 비하면 기업의 연구/개발 기대치는 몇 배 더 높아진게 아닐까요? 기업이 필요로하는 인력을 대학이 못 만들어내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입니다만은. 그나마 제대로 있는 기업연구소들이 해외유학 박사들만 뽑으려고 하고 하거나 아예 외국인들을 데려오려고 하니 답답합니다. 어차피 연구개발비용의 3/4은 기업에서 사용하는 거니까요.

  • 소요유 ()

      그건 국내 대학이 그동안 지원이 비하여 질적 변화를 소홀히 했다든 것을 의미합니다.  제가 석사를 졸업하던 때만해도 석사나 학사출신이 정부출연연구소에 가기가 비교적 쉬웠습니다. 그런데 1992~3년부터 이국유학 박사들의 귀국이 두드러집니다. 그에따라 국내석사  취업 기회는 줄어들었고, 이윽고 90녀대 말에는 국내박사 취업도 어려워졌다고 생각됩니다.  기업은 당연히 같은 값이면 더 나은 조건의 사람을 쓰는게 당연합니다. 이제는 제 3국 학위자들 보다도 효율이 없어졌다고 판단하고 있다면 기업은 당연히 제 3국으로 갑니다. 우리가 기업에 대하여 욕할 필요는 없습니다.   

  • 소요유 ()

      연초에 산자부 장관이 '대학 졸업생 warraty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이야기 했다면 국내 교육은  심각한 정도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판단한 것 보다 더 심각하다고 보여집니다.  다시 말하면 현재의 문제의 주된 요인은 국내교육의 '상대적인' 질적 저하에 그 원인이 있습니다. 질적 저하 원인이 가장 큰 문제는 인원의 과다에 의한 교육환경 악화나 국가차원의 지원이  부족했던 것보다는 대학 사회 내부에 있습니다.  이건 우리모두 알고 있는 사항입니다. 그러나 인정하기 싫은 사항이기도 할겁니다.  저는 현재 상황에서  인원 감축이나 국가적 지원이 증가하다 하더라도  시스템의 변화, 즉 교육 & 평가 제도의 확립 없이는  질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고 봅니다.

  • 소요유 ()

      저는 1997년말에 우리가 격었던 IMF에 비찬 우리모습, 즉 그 환란이 미국 자본가의 음모든  아니든 간에 그건 우리 사회 시스템의 취약성, 특히 교육 부문에서의 한계를 보여준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게 현재 이공계의 문제와 연결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문제는 교육 시스템 내부에 있으므로 단순처방으로는 해결이 안됩니다.  외국에서 공부하신 분들이나 국내 학위후 외국에 박사후과정에 있는 분들이면 누구나 우리의 문제점을 느끼고 있을 겁니다. 그게 팩트입니다.  거기부터 문제입니다. 

  • 2bgooroo ()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걸 얘기해도 왕따 당합니다..혼자 튈려고 한다는 식으로...다 그런거지 하면서...대개 다 그렇죠...알면서도 그러는건지..아니면 대한민국 특유의 까라면 까는식인지...

목록
이전
단순 정리
다음
이공계 정원 축소에 대한 제 입장


자유게시판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420 [펌][과학신문]국과위 사업평가 관계부처 외면 댓글 2 Myth 08-15 3622 0
419 답변글 [re] [펌][과학신문]국과위 사업평가 관계부처 외면 댓글 4 구혁채 08-15 3463 1
418 [펌][과학신문]학계 관행 '무임승차' 댓글 2 Myth 08-15 3324 0
417 [연합뉴스] "在美 한국과학자, 고온초전도 현상 비밀 규명" 댓글 3 소요유 08-15 3724 2
416 [펌][한국일보]이공계 대학원생 찬밥 신세 댓글 15 Myth 08-14 4263 0
415 청소년 이공계 엑스포 둘러본 소감 댓글 4 천칠이 08-14 3398 0
414 한국과학기술인연합, '청소년 이공계 전공 및 진로 엑스포'에 공식 참가 댓글 1 sysop 08-14 3199 5
413 미국 화학 전공자들에 대한 자료 1 준형 08-14 3588 1
412 Top Six Careers in Science for the Next 20 yrs 댓글 2 준형 08-14 3733 0
411 청소년 이공계 전공 진로 엑스포에 도움을 주실 분들을 기다립니다 댓글 6 sysop 08-09 3408 2
410 과학기술 연구개발 활동이 가장 활발한 한국 기업은? ver 0.75 댓글 2 김덕양 08-13 3532 0
409 온도가 서서히 높아져가는 냄비속의 개구리 불확실한 미래 08-13 4775 0
408 답변글 [re] 온도가 서서히 높아져가는 냄비속의 개구리 댓글 9 mhkim 08-13 3964 0
407 [경향신문] "국가보다 덩치 큰 다국적기업" 소요유 08-13 3486 1
406 [공상] 법조계를 과학기술계로 만들기 댓글 2 천칠이 08-13 3808 0
405 [건의] 토론실의 각 게시판은 회원만이 사용해야 합니다. 댓글 8 보통상식 08-13 3541 0
404 변화의 방향은 "스피드와 네트워크" 댓글 6 백수 08-12 3631 0
403 참담했던 시절의 빛바랜 사진들... 김기범 08-12 3923 0
402 [연합] 대통령 과학축전 메시지 ; 과학기술 발전: 대전제임은 분명한데- 댓글 2 김덕양 08-10 3724 0
401 국가 R&D 예산의 중요성 댓글 1 서정하 08-10 4152 1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