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학회 황교수논문에 대한 성명서 발표라는군요...

글쓴이
-_-;
등록일
2004-05-24 11:38
조회
4,919회
추천
24건
댓글
20건


황우석·문신용 교수 연구팀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해 국내 생명윤리학자들이 윤리적 의혹을 제기하는 성명서를 발표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한국생명윤리학회는 23일 ‘의학과 생명과학기술연구는 생명윤리 기준에 부합하여야 한다’는 제목의 성명
서를 통해 “황교수 등이 지난 2월 사이언스에 발표한 연구 성과에 대해 높이 평가하지만 연구에 사용한 난
자 채취과정, 연구 승인과정 등에 의문점이 있다”고 밝혔다.

학회는 ▲연구에 사용된 난자 중 일부를 여성 연구원으로부터 채취했는지 ▲난자 기증자에게 자발적 동의
(informed consent)를 얻었으며 이에 대한 증거가 있는지 ▲한양대 기관윤리위원회(IRB)의 난자 채취 연구계획에 대한 심사 및 승인이 적절했는지 ▲연구비의 출처는 무엇인지 등 12개 사항에 대해 공개질의했다.
학회는 “황우석, 문신용 교수의 성실한 답변을 기대하며 지금까지 제기된 문제들에 대해 사실을 밝히는 공개 토론의 자리를 가질 것”을 제안했다.

학회는 또 지난 4~5년간 사회적 합의를 통해 만든 생명윤리관련 법률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데도 불구하
고 법률이 발효되기 전에 인간배아복제 연구를 한 것은 윤리적으로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황우석 교수측은 그동안 여러 차례 인터뷰 등을 통해 난자 기증과정 등에 문제가 없으며 비공개 원
칙에 따라 상세한 내용은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 양측의 갈등 관계가 예상된다.

문신용 교수는 이날 “이번 질문서에 대한 답변은 미국 학회에 참석 중인 황교수가 귀국하는 대로 협의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황교수는 전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사이언스에서 논문 게재 전에 연구 현장을 직접 방문해 확인하고 게재
한 것인데 국내 학자들이 되풀이해서 같은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국내에
서 이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인간배아복제연구를 중지하고 있어 다른 나라들에 뒤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번 성명서 발표는 지난 2월 황우석 교수 연구팀의 사이언스 논문 발표 이후 국내외에서 제기됐던 논란의 종합판이라 볼 수 있다. 황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양에 성공, 향후 난치병 치료를 위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찬사를 받았으나 인간복제의 위험성 등으로 우려의 시선을 받기도 했다. 또 이달초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5월6일자)는 인터넷판 사설과 뉴스를 통해 황 교수팀 실험의 윤리적인 문제를 제기했으며 미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사실과 다르다”는 황교수측의 해명을 실었다.

한편 포항공대 임경순 교수(과학사)는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논란은 우리 사회의 과학성장이데올로기와 과학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의식이 충돌한 대표적인 사례”라며 “양측이 대립구도에서 벗어나 과학을 이해하면서 통제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2004-05-24)

  • JHC ()

      역사적으로 한국은 누가 잘되면 밀어주기는 커녕 발목을 잡아왔습니다. 겉으로는 아주 논리적이 이성적인척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잘나가는 꼴 못보겠다입니다. 이것도 결국 그 차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봅니다.

    뭣때문에 황우석교수가 그따위 지엽적인 질문에 답을 해야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연구비출처, 난자채취과정 등등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는 그럴듯한 정황이나 증거나 나온것도 아닌데, 없는 문제를 만들어가면서 해명을 요구하는 작태가 한심합니다.

    이건 마치 과거 멀쩡한 사람을 "너 빨갱이지?" "너 북과 내통했지?" 이런식으로 몰아부쳐서, 어떤 식으로든 그사람이 변명을 하도록 한 다음에, 변명들을 잘 비교한 다음에 "너 전에는 저렇게 말했다가 요번에는 이렇게 말하는구나, 너 빨갱이 맞잖아"라고 하는 것과 뿌리가 동일한 방법입니다.

    이런식으로 사람을 밀어부치다가 결국 황교수는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이란 결론을 낼것이 뻔합니다.

  • JHC ()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모든 프로젝트는 걸면 다 걸립니다. 프로젝트비 어디서 어떻게 받았는지부터 시작해서 그 돈 어디다 썼는지까지 모든 사람의 관심대상이 되는 순간 모든 프로젝트는 걸면 걸립니다.

    바로 이들의 의도는 "문제 없으면 공개하면 될거 아니냐"는 생각을 하도록 한 후, 세부사항을 파헤쳐서 문제점을 들춰나갈 것이 너무나 분명합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이야기한 딴지걸기가 일면 타당성이 있어 보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결과는 어떻습니까? 결국 가능성있는 과학자 발목 묶어놓는 결과밖에 안됩니다. 지금 우리의 상황은 나무만 보지 말고 숲을 봐야할 상황입니다. 자세히 들춰보면 분명히 문제가 있겠지만 목표를 위해서는 치명적인 문제가 아닌 한 이걸 이슈화할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저는 알고 있습니다. 기존에 한국인이 해오던 관습상 분명히 결국은 문제화 될겁니다)

    그리고 지금 제가 한심하다고 한 사람들이 제기한 문제라는 것이 고작 난자 제공과정이 합법적이었냐? 자금은 합법적으로 조달했냐? 이런 수준입니다. 이런식의 질문이 자기들이 주장하는 생명윤리 증진에 대단한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황우석교수가 어디서 난자를 도둑질해서 연구를 한 것도 아니고, 도박 자금이나 범죄자금으로 연구를 한 것으로 심각한 의심을 받고 있는 것도 아닌데, 이걸 파헤쳐서 무슨 득이 되는지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이건 마치 삼성이 수출을 잘하니까, 수출은 합법적으로 하고 있냐? 작업장 안전기준은 충족시키고 있냐? 라는 식으로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과 똑같습니다. 수출이 합법적이고 작업장 안전이 준수되는 것이 나쁘다고 할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문제는 이로인한 문제가 스스로 밖으로 돌출된것도 아닌데 이것이 그렇게 시급하게 조사되어야할 성질의 것이냐는 것입니다.

    또 그런류의 질문은 현행법이 규정한 배아 이용 또는 프로젝트비 조달에 관한 규제를 어겼을 경우에 검찰이 할만한 질문이지, 그게 무슨 학자들이 할만한 질문입니까?

    진정으로 윤리를 걱정하는 인간들이라면, 보다 큰 틀에서 배아복제에 관한 규제를 어떻게 하는 것이 생명윤리 증진에 기여하는지 놀지말고 생각해보라는 것이 저의 충고입니다.

  • JHC ()

      그리고 최한석님. 비판을 personal하게 받아들이지 말고 professional하게 받아들이라고 충고하셨는데, 국가 기밀도 아니니 무슨 말씀인지 자세히 설명을 좀 해주시지요.

  • 보스 ()

      "personal하게 받아들인다" 라는 거는 황교수 개인에 대해서 어떤 흑심(폄하) 같은것을 품고 글을 올리는 거겠구요, "professional 하게 받아들인다" 라는 거는 생물학을 하시는 분들의 입장에서 보아달라는 거겠지요.

    정말로 황교수님이 이쪽 분야를 한국에서 일으키고 싶다면 (황교수 또는 황교수와 연관된 그룹만이 아니라) 어떻게 실험 준비를 했는지, 과학계는 물론이거니와, 일반인에게도 공개해서 그들의 적극적 지지를 받는게 순서 아닐까요?

    JHC님의 글을 읽어보면 남(이곳 회원분들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설득하려기 보다, 황교수의 입장 (JHC님이 황교수님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에서 좋은게 좋은거 아니냐라고 느껴지는군요.

    "법을 어겼을 경우만이 검찰이 할 만한 질문"들이라는게 좀 그렇군요!

  • 보스 ()

      자료실에 올린 황우석 교수의 연구와 관련된 -_- 님의 pdf 문서를 읽다가 이런 문구가 있더군요. 17 페이지와 18 페이지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언급한 페이지는 문서의 절대적 페이지가 아니라 문서 아래에 적혀있는 페이지입니다.)

    "황우석 교수는 최근의 인터뷰(2004.2.17)에서 이렇게 말했다. "1년간 실험을 중단하겠다.  -- 중략...
    처음부터 난자 입수경로와 방법에 대한 비난을 받을 각오로 실험에 착수했다.""

  • JHC ()

      최한석님. 토론을 personal하게 보는 사람은 바로 님인것 같아서 제가 힐난하는 질문을 하나 올렸습니다. 첨에 하신 말씀 끝에 그런 이야기를 하는것이야말로 토론을 personal하게 이끌어가는 첩경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최한석님에게 화를 낸것도 아니고 여기 오시는 어떤분을 비난한 것도 아닌데 갑자기 professional하지 못하다는 이야기를 할 필요는 없을겁니다.

    제가 그 야야기에 크게 신경을 쓸 이유는 없었습니다만, 스스로 깨달으시라고 질문을 올렸습니다.

  • JHC ()

      황우석교수의 연구와 관련해서는 우리가 그 연구를 지나치게 특별 취급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괜히 이것저것 잘못한것은 없는지 특별한 관심을 갖지 말아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애석한 것은 그 연구가 잘되었다고 서로들 격려하고 배우려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에서 상좀 준걸로 칭찬은 대충 끝나고 성토분위기가 되는것 같다는 것입니다.

  • -_-; ()

      제 생각으론 황우석 교수의 연구는 지나치게 특별하게 취급되어야 합니다. 연구진 스스로도 지나치게 특별하게 취급해서 여러가지 장치를 두었지요.. 그 장치가 말로만 장치가 아닌가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아래 프레시안의 기사에 보면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는 연구비를 사용했거나 한다면 연구자 윤리에 문제가 되지요... 이 연구의 학문적 가치가 대단하기 때문에 이런 지엽적인 것은 묻혀야 된다는 논리는 인정하기 어렵습니다. 사실 어떤 분의 말처럼 털어서 먼지 안나는 경우가 있겠느냐고 하지만 그럴수록 모범적인 연구자가 되어야함은 당연한 것이겠지요...

     사실 이러한 것으로 인해서 연구가 중단되거나 황교수가 타격을 입고 학계에서 사라지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겁니다. 그 만큼 이 연구에 거는 기대들도 크고 과학사에 한 획을 긋는 발표였음은 틀림이 없습니다. 그만큼 더 깨끗하고 한점의 의혹도 없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똑같이 적용될 수 있을런지 모르지만 의료사고의 경우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의료사고를 당한 측에서 의사의 과실을 증명해야 되서 선진국이나 외국에 비해 부당하다고 기사에서 많이 떠들었었죠.. 그래서 우리나라도 의료사고에 대한 부분은 의사나 병원 측이 스스로 과실이 없었음을 증명하는 쪽으로 바뀌어가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연구 논문 내의 것은 학계에서 반복 실험이나 똑같이 재현하는 실험을 통해서 그것의 위험성, 가능성, 우수성 등등을 증명하고 인정하게 되겠지만 실험 외의 과정은 스스로가 명백히 잘못이 없음을 나타낼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해야 하는게 당연합니다. 공개하느냐 못하느냐는 다른 문제구요.. 아마 난자 기증자의 이름 같은 것은 기증자의 동의없이는 공개 못할겁니다.

    사실 제가 보기엔 이건 일종의 싸움입니다. 금지하자는 쪽으로 하려던 쪽과 그렇지 않았던 쪽... 결론은 한정적으로 허용한다 였지만 그 법이 시행되기 전에 미리 연구를 수행해버린 연구단과 그것이라도 문제삼아 조금 더 철저한 관리를 요구하려는 시민단체, 윤리단체의 기싸움.....

  • 김덕양 ()

      요즘 며칠 바빠서 못들어왔더니만 또 이런 기사가 나왔네요. 후후. 이미 답변해준거 또 물어보고 또 물어보면 결국 personal 하게 될 수 밖에 없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5월 14일자 science 지에 난 기사를 참고하시라고 덧붙여 둡니다. 이런 기사로 해명을 해줘도 계속 물고 늘어지는 것을 보면, 결국 다른 의도가 있다고 볼 수 밖에 없겠죠.

    11월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30억불짜리 줄기세포 연구자금 마련 법안이 통과라도 된다면(pro-life anti-abortion 주장하던 공화당의원들중에서도 찬성한 사람들이 꽤 있지요), 상당수의 연구자(어차피 국내에 있어봐야 sitting duck 이 될지도 모르는데..)들을 빼앗기게 될 것이 뻔합니다. 일부러 나서서 몰아댈 필요까지는 없지 않을른지. 하긴 우리나라에서만 안하면 장땡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실지도 모르겠군요.

    -----------------------------------------------------------------

    RESEARCH ETHICS:

     South Korean Cloning Team Denies Improprieties

     Dennis Normile

     A team of South Korean researchers has found that being on the cutting edge of controversial research brings both plaudits and
     scrutiny. In March they garnered headlines for the first successful production of a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 from cloned
     human cells (Science, 12 March, p. 1669; published online 12 February). But in a news story in the 6 May issue of Nature, the
     group was blasted for possible ethics violations. Specifically, Nature reported that the group, led by veterinary cloning expert
     Woo Suk Hwang and gynecologist Shin Yong Mo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ay have improperly used one of the 15 co-
     authors as an egg donor. Hwang emphatically denies that charge. But since then, other questions have arisen, suggesting that
     scientists involved in such sensitive research are going to have to carefully toe the line to avoid gray areas of ethical impropriety.

     According to the paper and accompanying online material, 16 volunteers underwent hormone treatment to stimulate overproduction of maturing eggs, creating a total of 242 eggs. The authors say that the women donated specifically for this experiment, were not compensated, and were informed that they would not personally benefit from the research.

     Last week Nature reported that in an interview a member of the research team admitted being one of the egg donors, raising
     questions about whether she profited professionally by being a co-author. Nature quoted bioethicists as saying that, to avoid any
     hint of coercion, there should be an arms-length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group and the donors.

     Hwang blames the language barrier for "a miscommunication." He says the woman had tried to explain that, in the future, she would be willing to donate eggs for such research by other groups. Moon-il Park, a professor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Hanyang University in Seoul and chair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t the university hospital that approved the research plan--the eggs were harvested at the hospital--wrote in an e-mail that no one from Hwang's team was among the 16 volunteers. "I confirmed this after being contacted by Professor Hwang" regarding the allegations, he wrote.

    But other questions are being raised. In their paper, Hwang and Moon note that the study was partly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Stem Cell Research Center, which Moon heads. The center's own IRB prohibits therapeutic cloning until national guidelines for such research are developed. Hwang says that despite the  acknowledgment in the paper, the team did not rely on the Stem Cell Research Center funding to support the research but only used "technical assistance" from the center to culture the cloned embryos and stem cells after they were established.

     One member of the center's IRB, Young-Mo Koo, a professor of medical ethics at th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in Seoul and secretary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says he feels "deeply betrayed by our colleagues' research." But not all the IRB members share those feelings. Un-Jong Pak, a lawyer on the
     facult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ays that from the information she has seen so far, "they have not abused [established] procedures" in conducting their research.

     Koo says the bioethics association worries that these researchers have been skirting the edges of propriety when "such leading scholars should be exemplary [in their] bioethics." Last December, the South Korean legislature approved a Bioethics and Biosafety Act that will allow strictly controlled therapeutic cloning beginning
     in January 2005, once a new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is in place. Koo says Hwang and Moon "fail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ocial consensus" that such research needs national oversight.

     Hwang says they have done nothing wrong. Still, he says they are suspending their therapeutic cloning research until the new law takes effect: "This research is not illegal, but I want to build a consensus about our research among nongovernmental and religious groups." His recent experience, though, makes him pessimistic about achieving that consensus.

  • 관전평 ()

      저도 가급적이면 원칙대로 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지만, 뭐라고 해도 제 눈에는 딴지로 보이는 군요.  사람을 키우려면 좀 흠이 있어도 갈고 닦아야 되는 겁니다. 

  • -_-; ()

      제가 그들이 아닌 바에야 의도를 알 수는 없는거지만 지금의 상황이 갈리고 닦이는 것으로 보이는군요... 그냥 놔두는건 흠을 덮고 메꿔주는 거겠죠..

  • 김덕양 ()

      며칠만에 또 들어와봅니다. 최한석님,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도 없이 무작정 제대로 하라고 계속 주장하시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그냥 주변정황상 그럴 것이다라는 예상만 가지고서는 계속 그런 이야기 하기 곤란하죠. integrity 이야기 하셨는데, 최한석님 기준에 integrity 가 훌륭한 사람들이 아무런 물증도 없이 상대방에게 계속해서 여러번 문제제기만 하는 행동을 하게될른지 생각해보시지요.

    그리고 괜한 자격지심은 빨리 없애시는게 좋겠습니다. 과학기술자는 자기 논문의 질로 이야기합니다. 일부 국내 과학기술자들의 논문이 별로 믿음을 주지 못하는 것은 논문을 제대로 못써서 그런 것이지 엉뚱한 integrity 에 대한 선입견이 그 이유가 될 수가 없습니다. 그런 선입관을 가진 이가 journal editor 로 있으면서 한국과학기술자들의 정당한 논문을 계속 거부한다면, 정당한 요구를 통해 자리에서 물러나게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 -_-; ()

      This study was supported by grants from Advanced Backbone IT Technology Development (grant IMT2000-C1-1) to W.S.H. and the Stem Cell Research Center (grant M102KL0100-02K1201-00223) to S.Y.M. The authors are grateful for a graduate fellowship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rough the BK21 program. 라고 되어있군요...

  • 김덕양 ()

      아 그런가요 최한석님? 최한석님의 integrity 기준으로는 정황근거만으로도 다른 사람에게 큰 타격을 줄 수도 있는 모함을 하는 것이 별 문제가 안되시는 모양이군요. 아무런 파급효과가 없는 문제가 아니란 것을 모르시는지요?

    저도 한국에 수십년 살았습니다만, '우리나라 문화가 상대적으로 거짓말을 용인하는 문화'라는 소리는 또 처음이군요. 하긴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그냥 아무런 근거도 없이 모함하는 것도 자기들 입맛에 맞으면 용인되는 문화가 존재해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일지도 모르겠군요. 아뭏든 별 도움안되는 자격지심을 빨리 버리시길.

  • 김덕양 ()

      최한석님이, 아무런 물증도 없이 자료요구(그것도 당연히 거부될 수 밖에 없는 내부자료들을 말이죠)의 형식을 빌어 언론플레이하는 것이 도의상, 윤리상으로 옳다고 생각하신다면, 더이상 드릴 말씀이 없군요.

    더우기 정확한 물증도 없이 false accusation 하다가 잘못으로 판명날 경우, 문제제기한 측도 엄청난 타격을 입어야한다는 당위성을 잊지 마셔야할 겁니다. 물증을 대고서도 그 물증을 입수한 경로가 부도덕할 경우(예를 들면 도청같은), 같이 큰 화를 입는 수가 종종있는 판에 아무런 물증도 정황근거만 가지고서 공개적으로 의혹제기를 하다니요. 물론 국내상황에서야 워낙 '아니면 말고식'이 판을 치니 이런 일들에 대한 윤리적인 불감증이 만연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만.

    위와 같이 아예 물증도 없이 마냥 의혹만 물고 늘어지는 행동은 사회적 윤리적 책임을 질 줄 아는 과학기술자들이 해야할 일은 절대 아니라고 저는 굳게 믿습니다.

  • -_-; ()

      잘 몰라서 그러는뎁쇼... 국가인권위원회가 뭐하는뎁니까 그리고 어떤 식으로 사건을 접수해서 일하는가요? 강제권력을 가지는 기관인가요?

  • -_-; ()

      잠깐 찾아본 결과로는 어느 정도의 권한(강제성)을 갖는지는 모르겠지만 2004년 TFT로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었군요....

    마. TFT 운영 (계속) 
     
     ○ 2003년 3개 TFT 과제(국가보안법/비정규직/사회보호법) 권고안 마련(상반기 예정)
    ○ 2004년 TFT 과제 : 인간배아복제와 생명윤리
    - 배아복제는 원래 난치병 질병치료제 개발연구에 이용되어 왔으나, 현재 동물복제 및 인간복제로까지 이어짐으로써 인권침해와 생명윤리에 대한 논쟁 발발
    - 인간복제를 위한 배아복제연구금지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졌으나, 질병치료를 위한 인간배아복제의 금지 여부에 대한 국내외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임
    - 배아복제로 인한 예기치 못한 위해를 예방할 생명윤리·안전 확보 대책필요

  • -_-; ()

      황교수의 사례가 국가인권위원회의 TFT에 의해서 수집되고 분석되는 것이라면 당연히 자료를 제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것이 나쁜 사례가 될지 좋은 사례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여러분들의 믿음처럼 좋은 사례로 남아 하나의 모범이 되기를 바랍니다.

  • JHC ()

      원래 실력없는 사람이 실력있는 사람을 제압하는데 쓰는 방법이 명분론이죠. 자기 실력없음을 탓하기 보다는 명분을 내세워서 실력있는 자를 제압하죠. 밤새워 연구한 황우석교수를 밤새워 술마셨을지도 모를 별볼일 없는 인간들이 제압하는 길이 윤리를 들먹이는 방법밖에 더있겠습니까?

    예전에 훈구파들이 그렇게 해서 사림파한테 밀려났고 실학자들도 다 비슷한 방법으로 물러났었죠.

    그리고 실리론은 한국적 정서로는 명분론에 밀리게 되어 있습니다. 저기 위에 제가 예로 들었듯이 누군가가 삼성전자의 작업장 안전 문제를 걸고 넘어질때 그걸 무슨 논리로 제압을 하겠습니까? 기껏해봐야 그건 우선순위가 아니다라는 이야기밖에 안되는 것이고 국민의식이 잘나가는 회사 발목잡고 쾌감을 느낀다면 그렇게 되겠지요. 미국같으면 그건 실리가 없으니 덮어두자라는 공감대가 형성이 되겠지만요.

    작년에 있었던 새미소사의 방망이 파동도 저는 첨부터 덮는 방향으로 갈걸로 예측을 했었죠. 왜냐면 그깐 일로 스타중의 스타인 새미를 밀어내봐야 메이저리그에 도움이 안될거거든요. 반대로 거의 같은 시기에 일어난 Martha Stewart의 주식사건에 대해서는 저는 Martha가 유죄가 되기가 쉬울걸로 봤었죠. 이 사건이 상업적인 건수가 되는 것은 Martha가 유죄가 될 때거든요. 어쨌거나 부럽게도 미국은 실리론이 우세합니다.

    논리가 세상의 전부인것 같아도 알고보면 사람들의 성향을 합리화시켜주는 도구에 불과하죠. 논리가 순수하게 논리로서 통용되는 경우는 아주 아카데믹한 토론에 국한된다는 것이 저의 경험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미국에서 벌어지는 변호사에 의한 논리의 전도는 설명할 길이 없게 됩니다.

    어쨌거나 한국사람들이 이 문제를 현명하게 판단해서 미래에 플러스가 되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야겠지요.

  • -_-; ()

      회사에 다니다 보니 GLP니 GMP니 하는 얘기들을 많이 듣고 아주 귀찮지만 그대로 꾸역꾸역 따라 합니다. 한 부서장이 GLP 실사에 들어가서 위원들한테 "지침대로 따라하니 효율도 높아지고 좋습니다" 했다가 한 소리 먹었습니다. 이게 귀찮고 해야할 서류 작업이다 뭐다 해서 일의 효율 자체는 좋아질리가 없는데 제대로 시행이나 하면서 하는 말이냐구요... 실험의 quality를 보장하기 위해서 하는 일이지 회사입장에서보면 효율은 떨어지지 않느냐고 위원이 물어봐서 할 말을 잃었답니다. 실제로 부서장은 위원이 말한대로 생각하고 있으면서 괜히 좋다고 말했다가 말입니다. 황박사의 연구가 자꾸 걸리는 것은 저런 류의 standard protocol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법이 시행되고 standard가 될만한 예들이 생기기 전에 미리 해버린데서 문제가 불거집니다. 일부 윤리학자나 생명과학자들이 우려하는 것은 이미 결정된 치료용 복제는 위원회에서 심의 검토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한다는 생명윤리법의 문제가 아닙니다. 즉, 황박사류의 연구를 못하록하자고 하는 것이 절대 아니란 것입니다. 문제삼는 것은 내년에 법이 시행되고 국가 위원회에서 치료용 복제를 관리하게 될텐데 이런 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제약회사에 있다보니 GLP에 관계된 일들을 가끔하게 되는데 외국계에서 GLP를 인정 받으려면 무지하게 어렵습니다. 해야할 일도 많고 관리해야 될 것도 많고 Standard protocol을 만들고 그대로 따라하지 않고 데이타를 컴퓨터 화일로 보관해서도 안되고 수정가능한 포맷으로 있어도 안됩니다. 하지만 GLP를 인정받으면 그 데이타는 거의 무조건적으로 신뢰해 줍니다.

    생명에 관계되고 더더군다나 윤리에 관계되는 과학실험을 국가에서 법으로 관리하고 위원회를 만드는 시점에서 이러한 예는 철저히 분석되어서 앞으로 시행할 위원회에서 참고하고 관리하도록 하여야 함이 마땅하며 그 프로세스가 잘 수립되었을 때 국가에서 일부 절대적 복제 반대자들의 우려를 잠재우면서 치료용 체세포 복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목록


펀글토론방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59 끝없는 회의들…돈으로 따지면 얼마? 댓글 2 이민주 05-24 4676 17
58 민간기업인들이 정치전면에 나서라 댓글 5 공돌이 05-24 4807 24
57 대학 공대 정원 줄인다. 댓글 17 이민주 05-24 7030 35
열람중 생명윤리학회 황교수논문에 대한 성명서 발표라는군요... 댓글 20 -_-; 05-24 4920 24
55 답변글 [프레시안]국내서도 "황우석 교수, 윤리 의혹 해명하라" 댓글 3 -_-; 05-25 4217 7
54 [퍼온글] 과기부 개편안 (전자신문) 배성원 05-21 4058 9
53 산자부 우려 최희규 05-21 4674 23
52 정통부 환영 최희규 05-21 4499 33
51 전력선 타고 정보가 흐른다 심종엽 05-21 5182 28
50 이공계 뽑으면 年2천만원 지원 댓글 1 김하원 05-20 4875 23
49 [펀글] [기자수첩]휴대폰 연구원의 모럴 해저드 댓글 4 김성용 05-20 4545 23
48 The world's most valuable technology company outside the Uni… JHC 05-20 4509 0
47 [뉴스]돈에 눈먼 ‘휴대전화 연구원’ 댓글 1 O2ni 05-19 4043 2
46 환풍손잡이 잡는 순간 '악'…고속철 여승무원 감전 이민주 05-19 5541 0
45 삼성이 '접은'영화, 소니는 '올인' 이민주 05-19 5353 0
44 [동아] 산업스파이 퇴치 05-19 4603 1
43 新산업동력 로봇]새로운 거대시장 열린다 댓글 1 iching 05-18 4358 2
42 ["의사협회 돈처먹은" 중앙일보에서 펌] - 의료, 이제는 산업이다 mechx 05-18 4153 2
41 과학기술과는 상관 없지만... cantab 05-18 3866 4
40 [대덕넷] 출연연間 '30년 분단의 벽'을 허물다 정우성 05-18 3949 2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