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종합과학기술상'을 신설해야 할까?

글쓴이
최성우
등록일
2018-10-29 08:01
조회
2,565회
추천
0건
댓글
1건
이른바 ‘노벨상 시즌’인 10월 초를 지나면서, 각 분야의 노벨상 수상자들이 모두 결정되어 발표되었다. 여성 차별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라는 세계적 추세를 반영해서인지, 올해는 세 분야에서 여성들이 노벨상 수상의 영광을 누릴 예정이다. 특히 그동안 여성 수상자가 극히 적었던 물리학상과 화학상 분야에도 여성 과학자가 포함되어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과학 분야 노벨상이 그동안 긴 세월이 흐르면서 크게 변화된 오늘날의 과학기술 연구 현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먼저 세 명까지만 공동 수상이 허용되는 규정부터가 문제로 제기된다. 현대 과학기술의 특징 중 하나인 이른바 ‘거대과학(Big Science)’이 출현하면서 수백 명 이상의 과학자들이 함께하는 공동연구가 빈번한데도 불구하고, 셋으로 한정된 과학자 개인에게만 상을 준다는 것은 불합리하게 여겨질 수도 있다.
하지만 기관이나 단체에도 과학 분야 노벨상을 수여할 수 있도록 바뀐다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와 같은 거대 연구기관, 또는 저명 대학의 연구단 등이 돌아가면서 수상하는 등 과학자 개인에게는 기회가 크게 줄어들 수 있으므로, 노벨상 제도 자체의 의미가 퇴색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생리의학상·물리학상·화학상의 세 분야로 나뉜 노벨과학상이 새로운 과학기술의 출현 및 학문 분야의 융합과 통섭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 역시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 이 역시 변화가 일고 있는데, 특히 노벨 물리학상은 정보통신 혁명과 과학기술의 융합 등을 반영해서인지 엄밀한 의미의 물리학적 업적이라 보기 힘든 공학과 기술적 업적에도 상을 수여하고 있다. 즉 2000년, 2009년과 2014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배출한 집적회로(IC), 광섬유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LED) 등은 모두 전기공학자의 업적으로서, 예전 같으면 노벨 물리학상을 받기는 매우 어려웠을 것이다.
물론 지구환경과학이나 인공지능, 컴퓨터 과학 등의 공로자에게 수여하기에 적합한 노벨상 분야는 여전히 없다. 뿌리는 다르지만 지난 1960년대에 노벨 경제학상을 신설했던 사례처럼, 가칭 ‘노벨 종합과학기술상’ 분야를 새로 제정하여 운영하면 어떨까?
 
최성우 과학평론가

[중앙일보] 2018.10.29

  • 연구개발인 ()

    기술분야에서 노벨상이 생긴다면 그것은 더 이상 학교나 연구소의 영역이 아닌듯 합니다. 기업의 영역이죠.

     아마 대학이나 연구소가 아니라 기업에서 상을 다 가져갈거에요. 보수적인 학계에서는 그것을 전혀 받아들이지 못할겁니다.

    현실적인 문제로는 기업은 중요 기술을 외부에 공개하지 못합니다. 피인용수와 A급 학회나 저널에 몇편 논문을 실었냐 평가받는 학회랑은 완전히 다른 세계죠.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882 외골격 로봇의 선구자 최성우 08-31 2769 0
1881 최초의 로봇은? 최성우 08-19 6161 0
1880 인간과의 체스 대결 최성우 08-14 2924 0
1879 동서양의 오토마톤 최성우 08-12 2599 0
1878 색다른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댓글 2 최성우 07-31 2552 0
1877 핵심종의 역할은? - 공포 인자와 생태계의 비밀 최성우 07-29 3114 0
1876 화성 이주의 꿈은 과연 실현될 수 있을까? 최성우 06-30 2086 0
1875 스페이스X의 우주 관광 계획 최성우 06-25 2137 1
1874 준 궤도 우주 관광이란? 최성우 06-21 2693 1
1873 민간 우주인의 역사 최성우 06-18 1780 1
1872 드레스 색깔 논쟁과 색채 항상성 최성우 05-11 2966 0
1871 기초과학과 특허에 대한 단상 댓글 2 최성우 04-30 2443 0
1870 지렁이를 반으로 자르면? 댓글 2 최성우 03-31 3571 0
1869 코알라가 잠이 많은 이유는? 최성우 03-28 3002 0
1868 금붕어의 기억력은 단 3초? 최성우 03-23 2461 0
1867 모항성이 매우 큰 외계행성이라면 어떨까? 최성우 02-24 2398 0
1866 아이볼 행성이란? 댓글 2 최성우 02-10 2554 0
1865 제2의 지구가 되기 위한 까다로운 조건들(1) 최성우 02-08 2556 0
1864 당근을 많이 먹으면 밤눈이 밝아진다? - 잘못된 속설(2) 최성우 01-31 2072 0
1863 시금치의 철분이 힘을 솟게 한다? - 식품에 관한 잘못된 속설(1) 댓글 1 최성우 01-27 2586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