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제어] 시간영역법과 주파수영역법의 구분? > 과학기술Q&A

본문 바로가기

[자동제어] 시간영역법과 주파수영역법의 구분?

페이지 정보

이용신 작성일2002-10-10 22:02

본문

요즘 [자동제어]책을 겉핥기식으로 보고 있는데요.
혼자 독학할려고 하니깐 힘든게 많네여...^^'
제가 허접한 질문일지라도 양해해 주시고 좋은 답변과 수정 부탁드립니다.

우선 초보[자동제어]책을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나온 내용은 주로 연속시간시스템 중에서 선형시불변시스템을 다루고 있는데..
저는 3가지파트로 나누어서 크게 생각해 봤습니다.

* 제어계의 표현
1. 전달함수(라플라스변환) 2. 상태방정식
* 제어계의 응답
1. 시간영역응답 2. 주파수영역응답
* 제어계의 안정도
1. Routh-Hurwitz법 2. 근궤적법 3.Nyquist법.

여기에서 선형시불변시스템은 시간영역법으로 이용할수 있지만, 시간변수가 일정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다루기 쉬운 주파수영역법을 이용하게 됩니다.
자!! [질문]입니다. 위에 제어계의 표현,응답,안정도에서 각각 주파수영역과 시간영역의 범위 구분을 어떻게 하면 될까요?

제 나름대로의 논리입니다. 틀리면 지적해주세요.
* 제어계의 표현
1. 전달함수(라플라스변환) ->주파수영역
2. 상태방정식 ->시간영역
* 제어계의 응답
1. 시간영역응답 ->시간영역
2. 주파수영역응답 ->주파수영역
* 제어계의 안정도
1. Routh-Hurwitz법 2. 근궤적법 3.Nyquist법. ->모두다 주파수영역

좀 도와주세요 이것을 알아야.. 자동제어가 쉽게 풀릴 것 같거든요.
허접한 질문이지만, 좀 자세히 답변 부탁드립니다. 틀린 부분 있으면 이유를 밝혀주세요.

 - http://cafe.daum.net/thinkingnote -

댓글 4

배성원님의 댓글

배성원

  그런 구분...할 수 있나요? 그냥 주 변수를 무엇으로 나타내느냐...방정식의 표현 기법 차이 아닐까요? 유체분야에서 streak line과 stream line이 동일한 유동에 대해서 다 정의되듯이 말입니다. streak line 은 한 유체 입자가 이동하는 궤적을 주우욱 따라가며 그어 놓은 겁니다. stream line은 유동 단면상 임의의 여러점에서 streak line을 그리기 시작한 것이죠. 그 집합입니다. 이 외에도 path line 등 있습니다. 어느 개념을 쓰더라도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꼭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요?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더라도 전달함수를 알면 주파수 영역 변수로 구한 답을 시간축으로 표현(물리량 자체의 시간에따른 변화) 할 수 있지 않습니까? 한번 더 변환해주느냐 마느냐 그

배성원님의 댓글

배성원

  차이 뿐인거 같은데요.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jeansy님의 댓글

jeansy

  라플라스 변환에 의해 time도메인으로부터 얻어지는 s도메인에 의한 접근을 주파수영역이라 정의하신 듯 합니다. 즉, 전달함수 G(s)에서 s=jw를 대입하여 G(jw)에 대해 해석을 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결론에 도달하신 것 같으네요. 그래서 R-H법, 근궤적법을 모두 주파수 영역에서의 해석으로 보시는 것 같습니다만, R-H법의 경우 특성방정식의 계수를 따지는 방식이고 근궤적법의 경우 K의 변화값에 의한 좌평면 내에서의 한계값을 찾는 것이므로(즉, s=jw로 굳이 대입을 하지 않더라도 해석이 되므로) 이를 주파수 영역에서의 해석이라 하기엔 조금 무리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대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자동제어 교과서(Kuo책이나 Ogata책)의 목차를 한번 훝어보시면, 분류에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배성원님의 댓글

배성원

  Ogata로 자동제어 배울때 열심히 나이키스트 플랏 몇번하고나면 문득 그 의미가 희미해지는걸 느끼지요. 주파수-responce graph에서 그 각 축이 뭘 의미하는지 문제마다 헷갈립니다. 이렇게 계'를 변환하여 문제를 풀면 종종 느끼는 헷갈림입니다. 윗분처럼 교과서 전체의 목차를 일고 음미하면서 '줄거리'를 되짚어보면 또 헷갈림이 약간 가시지요. 오래전 기억이군요..^^

SLIDE UP

모바일에서는 읽기만 가능합니다.
PC 버전 보기
© 2002 - 2015 scie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