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한국 과학논문 인용도 세계평균 이하' ; 아무래도..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연합] '한국 과학논문 인용도 세계평균 이하' ; 아무래도..

페이지 정보

김덕양 작성일2002-08-29 12:35

본문


 논문 인용도를 그 논문의 질로 평가한다면, (사실 그외에는 무슨 수치로 나타낼만한 자료가 없으니. 저널의 임팩트 점수빼고.) 아무래도 그동안 양적으로 많이 팽창했으니 질적인 향상까지 한꺼번에 기대하는 것은 좀 무리겠죠. 남들 1년에 한 편쓸거 6개월 3개월에 한 편쓰면 어쩔수 없는거는 사실일 겁니다. 그렇다고 안쓰자니 펀딩이 끊길거고...에구

 그나마 재료과학은 수치가 볼만하네요. Normalize 된거라 확실하지는 않아도 말입니다.

-----------------------------------------------------------------------------------------


'한국 과학논문 인용도 세계평균 이하'
    (서울=연합뉴스) 김길원기자 = 국내 과학자들이 펴낸 논문이 다른 과학자의  논문에 잘 인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미국 과학정보연구소(ISI)가 자사의 과학논문색인(SCI)를  바탕으로  최근 홈페이지(www.isinet.com)에 공개한 지난 97∼2001년 사이 `한국의 과학논문 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논문 인용도는 20개 조사분야에서 모두 세계  평균치를 크게 밑돌았다.

    특히 미생물학, 생물.생화학, 분자생물학, 면역학 등 국가 차원에서 적극  육성중인 바이오테크놀로지(BT) 분야가 상대적으로 논문의 인용도가 더욱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ISI는 이번 조사에서 최소 1명 이상의 한국인 저자가 포함된 5년치 5만5천329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논문의 질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인용도와 세계전체 논문에 대비한 분야별 논문 비중을 각각 산출해 공개했다.

    세계 평균 인용도를 100으로 봤을 때 각 학문별 인용률은 재료과학(84)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농학.경제경영학(각 78), 동식물학(76), 우주과학(69), 수학(68), 화학(63), 공학(62), 미생물학(61), 신경과학(59), 사회과학(58), 임상의학(56), 지구과학(55), 컴퓨터과학.물리학(각 53), 약리학(50), 생물생화학(48), 생태환경학(48), 면역학(43), 분자생물학(4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또 한국 논문의 편당 재인용 횟수는 평균 1.65회로 세계 평균 1.97회에 비해 낮았다.

    논문의 양적 측면에서는 재료과학 분야가 전체의 4.42%를 차지해 20개 분야  가운데 가장 높았으나 11개 분야는 전체 논문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oopkim@yna.co.kr (끝)

댓글 3

백수님의 댓글

백수

  과학계의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해서 이런 결과가 나오죠. 아무리 반짝이는 아이디어라고 해도, 저널에 한번의 발표로 두각을 나타낼 수 없답니다. 보충 연구로 수년간 여러학회와 저널을 두드려야 서서히 인정을 받게 되는 것이 정상적인 절차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풍토상 한우물 몇년 파고 있으면, 게으르고 바보라는 소리 듣기 마련이죠. 교수들은 제자 졸업하고 나면, 그 분야는 접어버리게 되고(아는게 없으니까), 정작 연구를 수행한 학생들은 졸업후에 엉뚱한 일을 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현실에서 논문의 인용도를 국제수준으로 올리기 어렵습니다.

백수님의 댓글

백수

  결국은 다시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문제로 돌아갑니다. 학생이 학위취득을 위해 연구하던 것을 계속 보완 연구해 갈 수 있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합니다. 파트타임 학생들도 학위를 딸 수 있는데, 왜 학위를 가진 사람들이 개인연구를 위해 시간 할애하는 것을 인정해 주지 못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워요. 아무리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외국의 우수한 인재들을 데리고 온다고 해도, 그들에게 한국식 기준에 부합하도록 강압한다면, 그 결과는 너무 뻔하죠. 아마 십년정도의 시행착오를 겪어야, 뭐가 잘못된것인지 알게될 거에요. 그때는 이미 늦어도 한참 늦은 때가 되겠지만.

트리비어드님의 댓글

트리비어드

  선배 한 명이 졸업하면 그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이 연구실에서 사라집니다. 마치 무협지에서 비전이 후세에 이어지지 못하고 끊기듯이... 나간 사람은 회사일땜에 다시 들여다 볼리가 없고, 프로젝트에 치인 대학원생들이 졸업하는 사람들 것까지 인수받아서 심도 있게 파내려 갈 수 없는 상황입니다.

자유게시판

SLIDE UP

모바일에서는 읽기만 가능합니다.
PC 버전 보기
© 2002 - 2015 scie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