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회로설계
- 글쓴이
- jggee
- 등록일
- 2020-08-15 09:05
- 조회
- 7,255회
- 추천
- 0건
- 댓글
- 2건
관련링크
다른 사람들 의견
-
전자학부생
()
시스템반도체에 필요한 회로설계를 하는 거고, 가전제품에 필요한 회로설계를 하는 거죠.
그 자체가 엄청난 차이인데 뭐가 궁금하신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회로 설계라는게 집적회로를 설계할 수도 있고, 보드레벨 설계를 할 수도 있기는 합니다.
직무기술서를 받아서 살펴보세요. 요구하는 역량이 비슷하면서도 다릅니다.
두 사업부 모두 Active 소자, Passive 소자 모두 활용해서 설계하는 건 똑같을테고,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방법이 다르겠죠 -
회프
()
왜그런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는 전자공학과 학부 때 대부분 정규과정에서 보드레벨의 PCB 설계나 칩설계를 직접 해보지 않고 졸업하는 것으로 압니다
아마 그래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뭘 배우는지도 모른채로 학교수업듣고 졸업해요 저도 그랬고 질문자님도 그런 것 같습니다
보통 언급하신 가전 모바일 CE/IM 사업부에서는 제품을 만드는게 목적이죠 여러 반도체 칩을 사고 주변회로를 꾸며서 실제 가전이나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PCB를 제작하는 회로설계를 하게 됩니다
반면 ds사업부는 반도체사업부로 이런 제품에 들어가는 작은 반도체 칩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lsi나 메모리사업부 같은 경우에는 칩에 들어가는 회로 설계를 하게 되고 파운드리 같은 경우에는 이렇게 설계된 칩을 생산하죠. 최근에는 파운드리 내에서도 고객(칩설계회사) 에게 제공해주기 위해 작은 IP설계를 해서 회로설계 인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lsi 사업부에서 하는 회로설계는 반도체 칩설계이며 가전 사업부에서 하는 회로설계는 반도체칩을 이어붙여 제품을 만드는 회로설계 라고 생각하심 됩니다
저도 모르는게 많지만 아는 선에서 답해드렸습니다
왜 학교에서는 이런 제일 중요한 것들을 안 가르치는지 경험을 안시키는지 모르겠습니다
인터넷에 전자회로 교재, 강의들 널려있는데 굳이 학교가서 이론수업 듣자고 비싼 등록금내고 다니는게 아닌데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