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O 의 PSRR 에 관한 공부를 하던 도중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
- 글쓴이
- 전자공공재
- 등록일
- 2021-02-13 15:29
- 조회
- 2,504회
- 추천
- 0건
- 댓글
- 0건
관련링크
LDO 의 PSR 에 대한 해석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main path 인 패스 엘리먼트로 통하는 경로에서
1. 트랜스컨덕턴스로 흐르는 신호
2. on resistance 로 흐르는 신호
두가지를 각각 나눠서 슈퍼포지셔닝을 통해 전달함수를 구하려고 했습니다.
트랜스컨덕턴스로 흐르는 신호의 경우, CG amplifier 구조이므로 gm x Zout 의 gain 에서
피드백이 걸려있으므로 총 gain 이 Loopgain 만큼 감소하는 구조인 것 까지는 알겠는데요!
r ds 로 통하는 신호의 전달함수의 경우는 물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처음에는 저항 divider 를 통해, r ds 와 부하측 저항이 Vin을 나눠갖는 구조인 줄 알았는데
피드백이 있으니까, 그것을 고려해야되는 것 까지는 알겠습니다만...
CG amplifier path 의 negative feedback 으로 인한 Closed loop gain = H(s)/[1+T(s)] 로 쓸수있는 것처럼
r ds path 또한 하나의 configuration 으로 정리하여 해석이 가능할 것 같은데
어떤 지식을 사용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ㅜㅜ
사진은 첨부해 두었습니다..!
main path 인 패스 엘리먼트로 통하는 경로에서
1. 트랜스컨덕턴스로 흐르는 신호
2. on resistance 로 흐르는 신호
두가지를 각각 나눠서 슈퍼포지셔닝을 통해 전달함수를 구하려고 했습니다.
트랜스컨덕턴스로 흐르는 신호의 경우, CG amplifier 구조이므로 gm x Zout 의 gain 에서
피드백이 걸려있으므로 총 gain 이 Loopgain 만큼 감소하는 구조인 것 까지는 알겠는데요!
r ds 로 통하는 신호의 전달함수의 경우는 물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처음에는 저항 divider 를 통해, r ds 와 부하측 저항이 Vin을 나눠갖는 구조인 줄 알았는데
피드백이 있으니까, 그것을 고려해야되는 것 까지는 알겠습니다만...
CG amplifier path 의 negative feedback 으로 인한 Closed loop gain = H(s)/[1+T(s)] 로 쓸수있는 것처럼
r ds path 또한 하나의 configuration 으로 정리하여 해석이 가능할 것 같은데
어떤 지식을 사용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ㅜㅜ
사진은 첨부해 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