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우습게 보는 세계 유일國

글쓴이
muroi
등록일
2004-07-06 23:56
조회
4,158회
추천
2건
댓글
13건
기자는 月刊朝鮮이 매년 두 차례 진행하는 역사문화기행의 안내자로서 유럽을 자주 여행했다. 프랑스,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 체코,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그 등지를 여행한 뒤 최근에는 일본의 지방을 자주 다닌다. 유럽을 많이 본 뒤 일본을 보면 일본이 작아질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거꾸로였다. 일본이 새삼 크게 보여지는 것이었다. 도쿄 오사카 등 대도시를 통해 보던 일본과 시골이나 지방도시를 통해 보는 일본은 많이 다르다. 일본의 저력은 시골이나 소도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시고쿠(四國)의 작은 도시 이마바리(今治)는 인구 10만 명 남짓한 항구이다. 이곳의 호텔은 그 서비스나 음식이 도쿄의 일류 호텔에 못지 않다. 이 도시의 서점도 도쿄의 중심가 수준이다.
큐슈 미야자키縣의 작은 마을 南鄕村은 인구가 2000명이다. 이 마을이 한국 여성을 국제교류원으로 채용하여 이 마을을 찾는 한국 관광객들을 도와주고 있었다. 이 마을에는 百濟 왕족의 후손들이 살고 있다.

큐슈의 산골에 난 국도를 달려보면 차량과 인간의 통행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도 길 양쪽에는 널찍하게 인도를 확보해놓았다.
시골의 음식점이 도쿄 긴자(銀座)의 음식점에 못지 않다는 것, 그래서 하체가 든든한 나라가 일본이다.

이런 일본이 明治維新(1868년)을 통해 갑자기 생겼다고 보는 것은 잘못이다. 일본의 생산력은 그 역사가 오래이다. 16세기 초 포르투갈 상인을 통해서 조총을 수입, 국산화한 일본은 토요토미 시대에 들어가면 총생산 조총수가 유럽 전역의 조총수보다 많았다고 한다. 일본의 제도가 단기간에 외국의 선진문물을 수용, 발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은 15만 명의 병력을 부산항에 상륙시켰다. 이는 당시까지 세계 역사상 최대규모의 상륙전이었다. 그 전의 기록은 13세기 말 元-고려 연합 14만 병력의 원정함대가 큐슈의 하카다에 상륙한 것이었다. 단기간에 15만 병력을 수송할 수 있는 함선을 만들었다는 것, 그 연장선상에서 일본의 해군 건설이 있다.

일본은 1920년대에 이미 미국 영국과 함께 세계 3대 해군국이 되었다. 1940년대엔 세계최대의 전함인 야마토와 무사시를 만들었고 세계최고의 전투기를 생산하였다.
일본의 근대화 혁명인 명치유신이 1868년이니, 근대화는 유럽보다 수백년이 늦었다. 그럼에도 그 뒤 100년만에 일본은 패전을 딛고 유럽의 쟁쟁한 선배국가들을 젖히고 세계 제2위의 경제력을 건설했다. 이 경제력은 국가의지만 있다면 단기간에 제2의 군사력으로 전환된다. 일본의 발전은 인류사의 한 기적이다. 일본 때문에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 사람들의 잠재력이 서구 사회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한국사람들도 서양인들로부터 없신여김을 당하지 않게 되었다. 이런 일본을 우습게 보는 세계 유일의 나라가 한국이라고 한다. 일본은 지난 10년간 경제의 장기침체를 경험했다. 일본의 시대는 이미 갔다라는 희망적 관측이 유행했지만 그 불황의 끝에서도 일본은 不動의 세계2위이다.

2002년 통계를 보면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은 약4조 달러이다. 세계경제3위인 독일은 약2조 달러, 4위인 영국은 약1조5천억 달러, 5위인 프랑스는 약1조4천억 달러였다. 즉, 유럽의 3대 경제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를 전부 합친 국내총생산이 일본것과 같다. 한국은 이해 5천2백 달러의 국내총생산을 기록하여 일본의 약8분의 1이었다. 그래도 한국에서는 '일본은 없다'라는 책이 잘 팔린다.

많은 한국인은 일본인의 친절함을 허약함으로 오해한다. 일본인의 정교함과 꼼꼼함과 섬세함을 포용력의 부족이니 축소지향으로 오해한다. 일본인의 정직, 친절, 섬세, 꼼꼼함이 조직되면 엄청난 스케일로 나타나고 무서운 생산력을 보인다는 것을 간과하는 한국인들은 오늘도 내일도 일본을 우습게 볼 것이다.
일본 해군이 내일 독도를 점령하고 주변해역을 봉쇄한다고 치자. 우리 해군 해병대 공군이 총동원되어도 독도 탈환은 불가능하다. 일본 자위대는 제해권과 제공권을 완벽하게 장악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우리가 독도 문제를 일부러 크게 만들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일본 자위대와 상대할 만한 戰力을 갖추기 전에는.

일본의 놀라운 생산력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1. 일본 국민들의 평균 수준이 매우 높다. 교육수준, 도덕수준, 전문지식의 수준, 평균 수명(즉 건강)이 세계최고 수준이다.
2. 일본 지도층의 수준이 높다. 이들은 명분론보다는 실용적이다.
3. 일본의 인구가 많고 국토가 넓다. 일본의 국토중 산은 약80%로서 한국보다도 산이 많다. 산림이 울창하고 地力이 좋으며, 강우량이 풍부하다. 면적은 38만 평방킬로미터이지만 다리미질을 하여 산지를 펴놓으면 100만 평방킬로미터, 즉 프랑스의 두 배 정도가 된다. 그만큼 일본의 국토는 넓고 입체적이며 생산성이 높다.
4. 武士지배를 오래 받아 사람들이 잘 훈련되어 있고 행동에 절도가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기업이든 군대이든 조직에 잘 순응하고 조직을 개인보다 중시한다.
5. 사회제도와 역사적 전통이 매우 실용적이고 생산적이기 때문에 외국에서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면 단기간에 이를 자기 것으로 소화해낸 다음 한 차원 더 발전시켜 생산하기 시작한다.

신라의 삼국 통일로써 동아시아의 국제질서가 정리되어 안정되기 전까지 일본열도는 아시아의 신대륙이었다. 신라, 백제, 고구려, 가야,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일본으로 인구가 유입되었다. 다양한 인종과 문화의 구성이 일본의 문화를 풍부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인류역사상 최장기의 정치안정이 생산성을 축적, 온존, 발전시켰다. 미국이 유럽의 문화와 인종들을 다 받아들여 융합시킨 힘으로 굴러가는 것과 비슷한 체질의 나라가 일본인 것이다.

예컨대 이퇴계의 주자학은 한국에서는 선비들의 관념철학으로 끝나고 민중들의 생활을 순화한 생활철학으로는 발전하지 못했지만, 이퇴계의 철학을 뒤늦게 받아들인 일본은 이를 국민교육의 바탕정신으로 활용하였다. 선진문물의 原産地보다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소화력과 생산력을 일본은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직도 일본에서 배울 것이 많은 나라가 한국이다.
  • 이승철 ()

      사이엔지 회원 중에 이유야 어떻든 일본을 우습게 보는 사람이 있나요? 과학기술계에 조금만 발을 담그더라도 적어도 과학기술분야에서 일본을 무시하는 사람은 어딜봐도 없는데..

    꼭 저런 식으로 제목을 달아야 할지...

    사실 비슷하게 말하자면 우리나라도 자랑스러운 유산들이 많습니다. 그걸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사람도 별로 없는게 문제지..

  • Haskell ()

      빛이 밝으면 나방이 모여드는 법이지요.

  • xantera ()

      과학기술계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라면 일본을 우습게 보지 않을 겁니다.
    아마도 윗 글의 저자인 "월간조선"의 기자같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겠지요.

  • 도래인 ()

      한국 사람들의 잘못된 일본관도 문제지만 이글도 문제가 많아 보이네요.

  • 이승철 ()

      이글의 저자는 월간조선의 조갑제 사장이군요.
    왜 퍼온 글의 원저자는 안 밝히시는지..

  • 이민주 ()

      음 조갑제 사장이라..  일본에 대해서 너무 심하게 생각해서 탈인데..흐~~ 일본을 무시하는 사람들이 조갑제 사장 근처에 많은가 보군요..

  • muroi ()

      불만있으면 글의 내용에 시비를 거세요.

  • sonic ()

      그래서 무슨 얘기를 하고 싶다는 거죠? 높은 생산성의 이유들이 참으로 한심하군요. 
    언제까지나 이 사람의 뻔한 논리를 보고 있어야 하는지 거참....

  • Lodi dodi ()

      일본을 우습게 본다는 말은 참 이상하게 들리네요.
    우리나라 국민들이 일본에 대한 악감정이 있는 것이지 우습게 본다는 것하고 일맥상통하지는 않구요. 제목이 글의 내용과 그다지 어울리지 않습니다. '일본은 이런 장점을 지닌 나라다, 우리가 배울게 많다' 라는 정도 소개하는거 같네요.
    다시 말하건대 우리나라가 우습게 본다는 것은 틀렸습니다.

  • 한사람 ()

      ...

    일본의 강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잘 보았고,,, 그런데, 결론이 "아직도 한국은 일본에서 배울 것이 많다"라는 주장인데, "So What"이 불투명함. (한국이 배울 곳이야 어디 일본 뿐이겠는가?)

  • 한사람 ()

      ...

    그리고, 만약 일본을 경쟁 상대로 생각한다면, 일본의 강점을 너무 쳐다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함.  다만, 일본을 추구해야 할 모델로 생각한다면, 일본의 강점을 깊이 연구해야 함.

  • 한사람 ()

      ...

    일본을 경쟁상대로 볼 것이냐, 추구해야 될 모델로 볼 것이냐에 따라서 일본을 연구하는 방법이 달라져야 함. 두가지 방법을 동시에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은 자들의 착각임.

  • 한사람 ()

      ...

    이제는, 일본을 경쟁상대로 볼 때가 되지 않았을까,,, 아직도, 그럴 때가 아닌가...



펀글토론방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219 무장경찰을 동원해서 전쟁을 일으킨다??? 댓글 1 THQ 07-07 3390 0
218 디지털 제국 설계자` LG전자 백우현 사장 nevada 07-07 5175 0
열람중 일본을 우습게 보는 세계 유일國 댓글 13 muroi 07-06 4159 2
216 신자유주의 댓글 1 REVOLUTION 07-06 3061 1
215 저공해 하이브리드차 국내 첫선 댓글 2 REVOLUTION 07-06 2951 1
214 [필독] 대한민국 지도층은 완전히 썩었다. 댓글 4 THQ 07-06 3423 0
213 중국 한족 출신의 화교들은 어떻게 해서 막대한 돈을 모았을까? THQ 07-06 3057 0
212 앞으로 중국으로 수출하는게 힘들것 같다. THQ 07-06 3354 0
211 [펌] 이공계 기피현상은 한국이 조선시대로 돌아가고 있다는 증거 안기영 07-06 3508 1
210 [서울대 물리학과 김대식 교수] "국내박사와 발견" 댓글 13 소요유 07-06 8765 17
209 독일 연방정부의 2005년도 교육연구부문 예산(안) 댓글 5 김하원 07-05 3592 3
208 모스크바의 한국 대사관 정원 인기 댓글 4 REVOLUTION 07-05 4417 0
207 "빌게이츠라도 성공할 수 없는 나라"...안철수, 국내 SW산업 신랄 비판 댓글 4 시렌 07-05 3471 1
206 과학재단의 교육부 이관 타당 ? - 최근의 과학재단 연구사업관리 논란 댓글 2 과학사랑 07-05 3016 1
205 (중앙일보 펌)'이공계 위기론' 언제 어디서 나왔나 맹성렬 07-05 3141 0
204 (중앙일보 펌)[위기의 이공계] 1. KAIST 학생 33% "진로 바꾸고 싶다" 맹성렬 07-05 3056 0
203 샤라포바의 사진 댓글 4 이민주 07-04 3944 2
202 “전세계적 파워이동이 시작됐다” 댓글 2 REVOLUTION 07-04 3151 0
201 한국자동차 산업에 위기가 슬슬 다가오는군요. THQ 07-04 3083 0
200 중국 언론 "고구려는 중국의 지방정부였다" THQ 07-04 3296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