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분산에 대해서

글쓴이
늘그대로
등록일
2022-10-18 10:05
조회
1,283회
추천
0건
댓글
4건
여기에는 아시는 분이 계실 것 같아 궁금한 점을 묻습니다.
얼마전 카카오와 네이버의 전산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SK C&C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서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많은 신문에서 카카오를 비난하던데...

카카오와 네이버가 외부회사에 서버를 의뢰한 것은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근데, 사고에 대비해서 서버를 분산한다면, 그 것도 한 업체에 맡겨야 하는 것 아닌가요?
메인 서버는 A업체에 두고, 백업 서버를 B업체에 두는 식은 비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즉 SK 에서 서버 위치를 분산해서 만약의 사태에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그리고 서버에 대한 사고는 SK에서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닐까요?
서버분산에 대한 책임이 카카오에만 있다고 하는 기사가 석연치 않아서 질문을 드립니다.

  • 빨간거미 ()

    카카오가 SK와 그런식의 계약을 했으면 SK가 했어야하겠지요.
    그리고 보상에 대해서도 카카오와 SK가 어떤 계약을 했을거고요.
    그 내용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생각합니다.

    지금 시점에 분명한건 DR이 제대로 안됐다는 것이죠.

    검색을 해보니 대덕에 SK C&C의 DR용 데이터센터가 있었군요.

  • 돌아온백수 ()

    황당한 일이긴 한데…. 한국이니까 벌어질 수도 있는….

    경영의 기본이 위기관리입니다. 사실, 별 하는 일 없이 월급많이 받는 분들이 있을 수 있는 이유가 위기관리를 하고 있다는 핑계죠. SK는 KT다음으로 긴 세월을 통신망 관련 업무로 먹고 살던 분들이죠. 그야말로 위기관리의 전문가들이 모여있다고 봐도 될텐데요.

    흘러나오는 얘기들을 보면, 어이없는 부분들이 있죠. 전력선이 하나였다는 둥…. 배터리에서 불이 났다는 둥… 불을 끄려고 물을 뿌렸다는 둥….데이터센터와는 어울리지 않는 얘기들인데요…  다 믿을 수는 없고요…

    이정도 라면, 구글이나 아마죤, 마소가 한국 시장 그냥 먹는 거 아닌가요? 심각하게 이전을 생각할 업체들이 많을 텐데요. 그저 이런저런 이유로 국내업체를 쓰던 기업들이 대거 이동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시나브로 ()

    데이터 이원화는 하고 있는데, 카카오가 서버를 SK C&C에 일임한 것 같지 않습니다.
    여러 곳에 데이터를 분할해서 저장했기 때문에 정상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체되고 있다는 해명을 하고 있거든요.

    서버에 물리적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는 흔치 않은 일이므로 이렇게 복잡하게 여러 데이터 센터를 이용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이 드는데, 무슨 다른 목적이 있다고 보여요.
    아마도 데이터 용량이 늘어나서 서버 용량을 추가할 때마다 가장 싼 곳을 선택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효율성보다 경제성을 우선시 하는 경영진의 마인드가 이럴 때 댓가를 치르는 것이죠.

  • 댓글의 댓글 빨간거미 ()

    원인이 뭐든간에 특정 위치의 서버가 동작을 제대로 안할 수 있음으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DR을 해 놔야합니다.
    이 경우 단점은 서버 비용이 두배가 든다는 것 뿐입니다.(실제로는 두배 이하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겁니다. 동시에 두 서버가 상시 활용되는 건 아니니까요.)

목록


자유게시판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공지 질문과 상담은 용도별 게시판을 이용하세요 댓글 3 sysop 04-20 4154 0
14714 결국 한동훈 딸은 MIT에 가려나 봅니다. 댓글 10 늘그대로 04-13 1139 1
14713 미국의 금리 딜레마 댓글 10 예린아빠 03-22 818 1
14712 인간답게 사는 세상은 언제 올까? 댓글 13 펭귄 02-22 1208 0
14711 AI 챗봇 chatGPT를 사용해 본 소감 댓글 11 시나브로 01-19 2040 0
14710 2023년 새해 전망 댓글 14 예린아빠 01-01 1308 0
14709 관성 핵융합이 해결해야할 과제 댓글 11 묵공 12-23 949 0
14708 사기꾼, 범죄자 천국인 나라. 댓글 2 펭귄 11-23 1523 0
14707 갑자기 공허한 생각 댓글 10 늘그대로 11-09 1883 0
14706 시진핑 3기 집권의 의미 댓글 43 예린아빠 10-26 1934 0
열람중 서버 분산에 대해서 댓글 4 늘그대로 10-18 1284 0
14704 현 금융위기에 대한 간략한 설명 댓글 13 예린아빠 10-08 1827 0
14703 우리나라 어디까지 추락될까요? 댓글 52 시나브로 09-22 2851 0
14702 내 정보 어디서 수정 가능한가요? 댓글 1 클릭 08-29 1047 0
14701 전기자 수소차 댓글 22 ourdream 08-20 1968 0
14700 이준석의 미래 댓글 27 예린아빠 07-28 2913 1
14699 궁금한데, CVPR 표절 건은 조용히 묻힌 건가요? 댓글 3 늘그대로 07-20 2283 0
14698 정부, 앞으로 10년간 반도체 인력 15만명 양성 댓글 2 늘그대로 07-20 2169 0
14697 카이스트 교수 대학원생 폭행 댓글 11 mhkim 07-05 3474 0
14696 세계경제를 관통하는 몇가지 흐름 댓글 37 예린아빠 06-20 2598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