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신문] 위기의 현장과학기술자들 (끝) -대안은 없나

글쓴이
박상욱
등록일
2002-10-12 00:32
조회
2,898회
추천
1건
댓글
3건
연재기획 : 위기의 현장과학기술자들 (끝) -대안은 없나

거시적 안목으로 합의점 찾을 때


지금까지 현장과학기술인력들이 처한 현실을 살펴보았다. 현실을 보는 다양한 시선이 교차하는 가운데 각 기관에서 내놓는 대안들과 현장 과학기술자들이 체감하는 현실에 이르기까지 합의점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짚어본다.



“국가가 해 줄 수 있는 것은 명예과학기술인상과 무슨 훈장, 그리고 부상으로 몇 푼” 젊은 과학기술자들이 만든 과학기술인연합(http://www. scieng. net)의 게시판에 오른 글이다. 과학 관련 기관들이 이공계 위기라는 현실 인식에 따라 이공계 인력 사기 진작 방안을 연이어 내놓고, 현장의 과학기술자 또한 자신의 위상 회복을 위해 제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적절한 대안 모색에 있어서는 여전히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인들의 사회적 역할과 기여도에 비해 사회적·경제적 보상체제가 미약하고 실업·취업난 등 고용환경 변화로 과학기술인의 사기가 저하된다”라는 문제의식을 밝힘으로써 과학기술인에 대한 보상 체계의 미약함을 인정했다. 과학기술인연합의 운영진 또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현재 이공계열 연구원의 경우 경제적 보상 미약과 그로 인한 자부심 상실, 퇴직 후의 미래에 대한 걱정이 중요한 고민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과학기술부는 △여성과학기술인상 신설 등 과학기술자에 대한 훈·포상 신설 및 품격 상승을 통한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훈·포상 제도 강화 △과학기술자들의 연구업적을 항구적으로 전시·보전하기 위한 과학기술 명예의 전당 건립 △NT·BT 등 신생융합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출연(연) 연합대학원 설치 검토, 교육과 연구의 연계강화 △학사급 현장 엔지니어에 대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등의 지원시책 추진 등을 대안으로 내놓았다.

정부와 과학기술인력의 동상이몽

그러나 과학기술인연합은 이것을 “구체성과 구속력도 없는 ‘면피성 정책’”들로서, 실용성 없는 대안이라고 성명을 통해 반박하고 있다. 과기부 정책 실제로 어느 정도 사회적 기반을 닦은 몇몇 과학자들의 훈·포상, 상금제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젊은 과학기술인력의 생활문제에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 운영진인 박 아무개 씨는 “현재 게시판에서 논의되고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퇴직 후 보장을 위한 과학기술연금 제정, 비정규직 연구원 문제 해결, 직업 수명을 늘일 수 있는 재충전 기회 확대 등이다”라고 말한다. 이들은 몇몇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과학기술인력 전반이 경제적 안정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것만 보장되더라도 중·고등학교의 이공계 기피현상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다.

또한 ‘인과응보’를 아이디로 쓰는 한 회원은 “이공계기피현상은 돈보다는 사회적 존경을 잃어버렸다는 명예 문제다” 라고 쓰고 있다. 과거에도 이공계가 다른 분야에 비해 대우가 좋은 적은 없었는데 “몇 년 전부터 갑자기 이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했다면 이공계 인력에 대한 사회적 공감이 없어진 것”이라는 진단을 내린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 존경 역시 물질적인 보상을 바탕에 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앞의 경우가 생계 유지를 위한 물적 보상체제였다면, 이 경우는 값진 연구 성과를 만들었지만 이에 대한 보상이 미약해 박탈감을 느끼는 것이다. 즉 물질적 대우의 부족으로 인해 상실감이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물적 보상을 시도하지만 여전히 소외감을 느끼는 과정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공신력있는 제도 고안 절실

‘과학기술자 사기 진작 방안’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민철구 연구원은 “과학기술인력에 대해 사기 진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외부적인 시각을 전제하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다”라고 말한다. 시장경제 체제 내에서 정부가 특정집단의 문제에 관여하는 것이 조심스럽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과학기술인의 사회기여도에 비해 경제적 보상이 낮은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일정부분 정부가 개입할 필요는 있지만 최종적 문제는 외부의 도움 없이도 자유롭게 운영되는 안정된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또한 기초학문을 보호하면서 자유로운 인력 수급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형태를 가늠하기 쉽지 않다.

같은 현실 속, 다른 대응 방안의 결론은 공신력 있는 제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인연합은 “근본적으로 국가 지도자의 머리 속에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에 대한 청사진이 들어있질 않기 때문에, 당면한 과학기술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지 않는 것”을 문제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거시적인 안목으로 제도를 구상하지 않으면 지금 나오고 있는 대응 방안도 급한 불을 끄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각계의 목소리를 한 곳에 모아 안정된 제도의 문제를 구상하는 것은 다만 희망사항으로 남겨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지영 기자 jiyoung@kyosu.net

  • 임호랑 ()

      그 박아무개가 박상욱님이군요. ^^ 보니까 우리 모임의 논평과 성명을 적극 인용했군요. 전반적으로 나름대로 잘 정리한 것 같긴 한데, 기사로 함축해서 쓰다보니 표현의 정밀성에 한계는 있어보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사회일각에서는 '공돌이들'이 그만한 대우받으면 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습니다. 병역면제에다 과학고, 카이스트, 포항공대 등 거의 공짜로 다닐수있는 학교있지, 장학금으로 해외유학 많이나가지, 벤처기업을 비롯 CEO의 '20%나' 차지하고 있지, 이공계가 취업률 높지, 등등.. 물론 얼마든지 반박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시각도 있다는 것을 참고해야 할 것 같습니다.

  • 회전목마 ()

      참, 카이스트는 석사생들의 등록금이 해마다 10만원씩 올라서, 올해는 학기당 30만원이라더군요.  한 50만원까지는 오를 전망이라고들 합니다.  아울러, 카이스트 설립당시의 지원금을 2002년인 지금에도 거의 인상없이 받고 있다더군요.  그때의 과기원인으로서의 위상과 지금의 위상이 얼마나 차이나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국내에서 푸대접받는데 아시아 최고이면 뭐합니까?  석사 나와서 캐피탈로들 뜨는게 정석플레이인것이 현실입니다. 

  • 회전목마 ()

      아니, 공돌이들 대접이 그만하면 된다구요?  도대체 나라 굴러가는 돈이 어디서 벌리는겁니까?  공대 말고 벌어오는데가 있으면 말을해봐요!  참 억울합니다.  저 공대 들어갈때만해도, 그래도 그때까지 "공부잘하면 공대가야지" 하던때였습니다.  군대 갔다오고 진로를 더이상 바꿀 수 없을때쯤 되어서 모든것이 뒤집히더군요.  저 대학갈때까지 "이공계 기피" 란건 꿈도 안꿔봤습니다.  그렇게 쌓아온 꿈이 하루하루 날아가며 더이상 공부해 뭘하나?  나두 캐피탈이나갈까~~ 이 생각으로 하루하루 살아갑니다.  캐피탈이 나쁘다는말이 아닙니다, 최소한 공부에 꿈을두고 학업을 이어가는 사람들에게 참담한 미래를 선물하는 사회는 아니어야 한단겁니다.

목록


자유게시판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722 국회의원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설문자료를 올린 결과... 댓글 1 tatsache 10-12 2891 0
열람중 [교수신문] 위기의 현장과학기술자들 (끝) -대안은 없나 댓글 3 박상욱 10-12 2899 1
720 '모든 의사들에게 참회와 개혁을 촉구한다' 댓글 1 트리비어드 10-11 2955 0
719 30년을 바쳤다 꿈은 이루어졌다 댓글 17 샌달한짝 10-11 4419 0
718 [YTN] 노벨상, 투자.관심 열쇠 SoC 10-11 2889 1
717 [한국]서비스산업 둔화 확연 Myth 10-11 2518 0
716 이공계 수석입학 68명 현주소 42명이 박사…교수 27명 댓글 6 tatsache 10-10 2856 3
715 [소식]동아사이언스와 한국학문화재단이 개최하는 ‘교사를 위한 이공계 진로 선택 촉진 방안’ 심포지엄 댓글 1 지인기 10-10 3401 0
714 답변글 [re] 내용 댓글 2 tatsache 10-10 2942 2
713 [한경] [STRONG KOREA] 제1주제 : '결산 좌담회' 댓글 5 최경환 10-09 2625 1
712 [기사펌] [김준기회장] 이공계 인재 육성 사재 150억 출연 댓글 4 SoC 10-09 3075 0
711 [디지털타임스]"국내 이공계 대학원생 연구비 부족.과노동에 시달린다" 댓글 7 Myth 10-08 3437 0
710 [공지] 대학원 실태조사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댓글 14 sysop 10-07 3135 1
709 “우리대학 오세요” 홍보책자 첫 발간 댓글 5 tatsache 10-07 2701 0
708 IT산업에 관한 조선일보의 두 기사 댓글 1 tatsache 10-07 3177 1
707 [CNN/중앙] 귀환 유학생들, 중국 미래에 희망 가져온다 댓글 8 이공계2 10-07 3185 0
706 풀옵션 중형차 공짜로 뽑아드립니다 (조건없음) 미래로 10-06 2761 0
705 우리도 직업별, 직능별 단체 모임란을 하나씩 만들어주는게... 댓글 4 임호랑 10-06 3075 1
704 [감상] 정운찬 총장의 최근 강연문을 읽고... 댓글 1 J. Simon Shim 10-06 3272 1
703 답변글 [re] [감상] 정운찬 총장의 최근 강연문을 읽고... 댓글 1 임호랑 10-06 3090 1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